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

 1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
 2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2
 3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3
 4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4
 5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5
 6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6
 7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7
 8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8
 9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9
 10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0
 11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1
 12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2
 13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3
 14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4
 15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신언어 남용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발생원인
2. 통신언어의 유형 및 사용실태
1) 어미변화
2) 소리 나는 대로 적기
3) 줄임말 현상
4) 신조어
3. 통신언어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4. 통신언어 남용의 개선방안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서론

현재 인터넷이 대부분의 가정에 보급된 상황에서, 통신언어는 90년대 말에 비하여 급격히 늘어났다. 지금 통용되는 통신언어는 90년대 말 ‘한국어를 파괴할까’ 걱정의 대상이었던 몇몇 통신언어의 양을 훨씬 넘어선 것이다. 90년대 초기에 PC통신 사용자들이 채팅을 하거나 게시물을 올릴 때, ‘할룽’, ‘하이’, ‘빠이’, ‘안냐세요’ 등의 비교적 한정된 언어를 썼던 것에 비하여, 현재는 고유명사에서부터 접두사와 접미사, 은어, 말놀이까지 어휘의 변신이 거듭되면서 예전에는 상상할 수조차 없게끔 그 통신언어의 양이 방대해졌다.
인터넷 매체에서 이렇게 범람하고 있는 통신언어는 단순히 인터넷 안에서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우리의 삶 이곳저곳에 침투하고 있다. 90년대 초기의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였던 대로 한글파괴 뿐만이 아니라 이제는 일반 생활 곳곳에 쓰이기도 하고, 많은 학생들은 통신언어와 표준어 사이에서 심한 갈등을 느끼기도 한다. 표준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상당수의 학생들은 뭐가 통신어고 뭐가 표준어인지마저 헷갈려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대화에서도 통신언어는 그 나름의 개성적인 표현방법으로 인해 폭발적인 지지를 받으며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표준어를 사용하고 통신언어를 경계해야할 TV나 라디오, 신문 등 여러 언론 매체에서도 무의식적으로 통신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의식체계를 지배하기 쉬운 TV나 라디오, 신문 등 여러 언론 매체는 통신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통신언어에 대하여 관대한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 몇몇 아나운서들은 일부 쇼 프로그램에 나와 통신언어를 남발하면서 깔깔거리기도 하고, 많은 연예인들이 아예 대놓고 통신언어를 유행어로 밀면서 즐거워한다. 그것을 자제시켜야할 제작진들은 오히려 TV 자막에 버젓이 집어넣고, MC들은 통신언어를 따라하며 그 분위기를 이끌어 나간다. 매주 TV로 방송하기에는 적합지 못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는 몇몇 프로그램들도 문제점만 지적할 뿐, 전혀 고쳐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인터넷 공간만이 아니라 일반 생활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통신언어를 냉정하게 바라볼 때가 되었다. 더 이상 이렇게 방관하다가는 한국어의 표준어보다 통신언어를 더 많이 보게 될 상황에 이를지도 모르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생길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것은 어떻든지 간에 통신언어의 과다한 사용에 대하여 심각성을 느끼고, 이에 대해 보다 관심 있게 지켜보아야 할 때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통신언어의 정의, 유형 및 사용실태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1. 통신언어의 정의 및 발생원인

통신언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지만, 통신언어란 "급속한 인터넷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온라인상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언어"로 정의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대부분의 통신언어는 기존 국어문법체계에서 어긋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통신 언어는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우선, 통신 언어에는 상대의 표정과 동작이 담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겨나는 특징을 가진다. 인터넷상에서는 일상적인 대화와 달리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말과 함께 전달되는 화자의 표정이나 동작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말로는 "그래그래, 네 말이 옳아."라고 하면서도 표정이나 동작으로 부정의 뜻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언어이므로 음성이 담기지 않는다. 우리가 말을 할 때에는 말의 높낮이, 빠르기, 성량, 음색 등도 표현된 말만큼이나 중요한데, 통신언어에는 이러한 음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통신 언어는 시각적인 매체만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신속성이 필요하다. 여럿이 대화를 주고받을 경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신체 언어에 의해 '내가 먼저 말하겠다.'는 의사나 '너는 좀 가만히 있으라.'는 의사 전달이 가능하지만, 통신을 할 때에는 많은 정보를 재빨리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통신언어는 “신속하다”라는 특징을 가진다.
참고문헌
▶ 권연진,「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언어과학』7, 한국언어학회 동남지회, 2000. 양명희,

▶ 이호영,「일상 언어에 통신 언어가 미친 영향 연구」,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조상진,「인터넷 통신 언어의 연구」, 원주 : 상지대 교육대학원, 2006.

▶ 이정복 · 박호관 · 양명희,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연구」, 서울 : 국립국어원, 2005

▶ 강진숙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디지털 세대의 인터넷 언어」

▶ YTN 기사, 「드라마 '궁', 언어도 체통을 지키셔야죠!」 : 2006. 01. 1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