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

 1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1
 2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2
 3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3
 4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4
 5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5
 6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6
 7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7
 8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문화] 현대적 관점에서 본 관혼상제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관례
1.1 관례의 의미와 유래
1.2 현대적 시각에서의 관례.
2. 혼례
2.1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
2.2 전통혼례와 현대 혼례 비교
2.3 현대적 의미에서의 혼례(婚禮)
3. 상례(喪禮)
3.1 전통 상례(傳統喪禮)
3.2 전통 상례와 현대 상례의 비교
3.3 현대 상례(現代喪禮)의 의미
4. 제례(祭禮)
4.1 제례(祭禮)의 정의와 유례
4.2 현대식 제례(祭禮)
4.3 현대적 제례 (祭禮)의 문제점 및 장점
4.4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1. 관례

1.1 관례의 의미와 유래

관례(冠禮)는 아이가 성장하여 성인이 되었다는 것을 남들에게 알리는 의식이다. 관례를 치르면 비로소 성인이 됨과 동시에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고 결혼도 관례를 마친 후에 할 수 있었다. 즉, 성인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가지게 되는 관례는 일가 친척과 동네 어른을 모시고 조상의 신위(神位)를 모셔놓은 사당에 고하는 것부터 행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관례가 행해졌는지 확실치 않으나, 고려 광종(光宗) 16년 왕자가 원복례를 치뤘다는 문헌상의 기록으로 보아 고려 때부터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2 현대적 시각에서의 관례.

관례는 흔히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서구방식을 모방한 "성인식"이라고 불려진다. 현재 젊은 세대들이 생각하는 관례는 과거 관복을 입고 머리에 관을 쓰는 의식이 아니라, 연인 사이, 친구 사이에서 행해지는 하나의 이벤트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성인식은 만 20세가 되는 해의 5월의 셋째 주 월요일에 성년의 날에 행하여 지는데, 공식화된 절차 없이 친구들이나 연인 혹은 가족끼리 선물을 주고받거나 성인이 되는 기념으로 저녁에 술을 함께 마시는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성년의 날을 맞은 사람은 장미꽃 , 향수 ,애인, 첫 키스를 받아야 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통 성년의 날을 맞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모습을 지켜보았을 때 친구들과 함께 성인이 된 기념으로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는 것으로 그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국가에서 성년의 날을 정하여 이날을 기념하고자 한 취지는 성인이 되어서 국민이 한 사람으로 주권을 행사할 수 있고 , 성인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자는 취지로 성년의 날을 만들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짚어보았을 때, 서구의 성인식만을 모방 한 채 전통적인 자취를 잃어버린, 단지 술을 마시는 날로서 인식 되는 것이 안타깝다.

2. 혼례.

2.1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원래 혼인의 혼(婚)자는 혼(昏)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혼례는 어두울 때 행하는 것이 예로 되어 있었다. "대대례"라는 책에 보면 관혼은 사람의 시작이라 했다. 혼인은 곧 인륜의 시초라는 뜻이다. 또 공자가어에 보면, 얼음이 녹으면 농상이 시작되고 혼례를 치르면 사람의 일이 시작된다고 했다. 이로 미루어 혼인제도는 기원전부터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는 오래 전부터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를 중심으로 첩(妾)을 두는 다처적 경향이 후대까지 계속되었다.
참고문헌
관혼상제 대전 諭悳善 編著 /1995/신나라
www.naver.com
www.yaho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