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

 1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
 2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2
 3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3
 4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4
 5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5
 6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6
 7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7
 8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8
 9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9
 10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0
 11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1
 12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2
 13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3
 14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4
 15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5
 16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6
 17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7
 18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8
 19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남성의 노동기간 변화에 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노동력 생명표의 작성방법
Ⅲ. 한국남성의 노동력 생명표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V. 부록
본문내용
이는 가족의 구성이 핵가족화되면서 대부분 고등교육에 입학하게 되었고, 실업계 고교의 몰락을 가져왔다. 또한 고학력자의 저임금의 3D업종에 대한 기피현상으로 인해 직업계층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화이트칼라화에 따른 블루칼라층의 해외인력수입으로 또 다른 사회문제가 대두되었으며[구성열, 강병규: 한국인구학회], 저임금 노동력을 구하기 위한 자본의 해외진출로 인해 노동절약형 산업구조의 개편과 함께 IMF를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90년대 초반의 미국 자본의 중국의 값싼 노동력시장의 진출현상과 일치한다.
정년퇴임기인 57세 기준에서 고찰해보면, 인구고령화추세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이 1993년과 1999년이 80%로 거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제로 IMF 이후의 경제개혁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반영하고 있다. IMF는 산업구조의 변환점의 역할을 하여 그 이전을 아날로그 기반의 산업구조이라면 그 이후는 디지털의 기반을 가지며, 차후에 노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이 급격히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며, 노령화에 따른 선형적인 증가추세가 일어나지 않는 현상은 새로운 노동절약형이면서 고학력화에 따른 산업구조인 지식기반 벤처기업 형태로 나타나 20-30대의 젊은 연령층의 경제활동참여율을 증가시키는 예측을 함축하고 있다.

2. 취업준비기간
그림 3은 우리나라 남성의 연도별 취업준비기간을 나타낸다. 1981년 대비 1999년에는 2년의 교육기간의 상승을 가져왔으며, 이는 노동생명표에서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각 연령층이 두터워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1981년 대비 1999년에는 25-29연령층의 취업준비 년수가 0.17년에서 0.62년으로 3-4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노동력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키게 되었지만 공급차원에서 인구증가율의 둔화와 함께 노동력 공급의 증가둔화추세를 가져왔고, 굴뚝형 산업구조에서 굴뚝없는 첨단산업화 및 산업구조의 고도화의 개편을 가져오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산업기술의 천이현상(high tech transition)으로 3D 산업의 해외인력 유입 및 자본의 해외유출, 지식기반 정보산업 출현등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변천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문헌
(1) 이흥탁 (1990), “인구학”, 법문사
(2) 김정근, 김동희, 이광실 (1977), “1970년도 한국인 남자 노동력생명표”, 「한국인구학회」제1호.
(3) 김정근, 김동희, 이광실 (1977), “한국인 남자 노동력생명표:19651975”, 「인간과학」제1권 제6호.
(4) 이인모 (1988), “한국인 남자의 간이노동력 생명표; 1980”,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5) 조진만(1990), “우리나라노동력생명표에의한 노동력추이 분석”, 「한국인구학회지」 제13권 제2호.
(6) 통계청(1997), 「1995년 생명표」 통계청
(7) 통계청 (1999), 「1997년 생명표」통계청.
(8) 통계청 (2000), 「경제활동인구연보」 통계청.
(10) Wolfbein S.L. and Wool H. (1950), “-Table of Working Life : Length of Working Life for Men”,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ulletin, No. 1001.
(11) Gakfinkle Grainkle S. H. (1957), “Tables of Working for Women(1950)”,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ulletin」 No. 1204
(12) United Nations(1971), 「Methods of Project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United Nations
(13) 구성열, 강병규(1998), “우리나라 인구 및 학력의 구조변화와 노동력 수급전망”, 「한국인구학회」제21권 제1호, 5-4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