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

 1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
 2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2
 3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3
 4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4
 5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5
 6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6
 7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7
 8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8
 9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9
 10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0
 11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1
 12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2
 13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3
 14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4
 15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5
 16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6
 17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7
 18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8
 19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19
 20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 해석과 언어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실례
4. 맺음말
본문내용
이 견해에 의하면, 본문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의 앞에 쓰인 숫자는 보통 동작의 횟수를 나타낸다. 환무용과 양백준의 이러한 주장은《경전석문》에서ꡒ삼ꡓ자를 거성으로 읽고ꡒ여러 차례ꡓ로 해석한 의도와도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문의ꡒ삼ꡓ역시 횟수를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며 또한 정확히ꡒ셋ꡓ이 아닌ꡒ여러 번ꡓ이라는 개수의 용법으로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필자는《석문》, 정약용이 소개한 등과 순의 견해 및 환무용과 양백준의 견해를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견해에 의하면ꡒ삼ꡓ은 부사어로 쓰여 동작의 횟수를 나타내며 그 횟수는 ꡒ여러 차례ꡓ로 보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

2)ꡒ전불습호ꡓ의 해석
ꡒ위인모이불충호ꡓ,ꡒ여붕우교이불신호ꡓ 두 구절은ꡒ남을 위해 일을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충성스럽지 못했는가?ꡓ,ꡒ친구와 사귈 때 믿음직스럽지 못했는가?ꡓ로 해석된다.ꡒ위인모ꡓ와ꡒ불충호ꡓ,ꡒ여붕우교ꡓ와ꡒ불신호ꡓ 사이에는ꡒ이ꡓ가 있으며,ꡒ이ꡓ의 앞에서 언급한ꡒ위인모ꡓ,ꡒ여붕우교ꡓ에 대하여ꡒ이ꡓ의 뒤에 나오는 ꡒ불충ꡓ,ꡒ불신ꡓ하였는지의 여부를 묻고있는 내용이다. 그런데 병렬된 세 문장 가운데ꡒ전불습호ꡓ만은 유독ꡒ전ꡓ과 ꡒ불습ꡓ사이에ꡒ이ꡓ가 쓰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ꡒ전불습호ꡓ를 위의 두 구절과 같은 구조로 이해해야 하는지 아니면 전혀 다른 구조와 논리로 이해해야 하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또한ꡒ전ꡓ을ꡒ전ꡓ의 의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문제로 말미암아 이에 대하여 다양한 해석이 제시되어 왔다.
(1)ꡒ불습ꡓ을ꡒ전ꡓ의 목적어로 파악한 견해

집해에서 하안은 이 구절이ꡒ내가 (교육을 통하여) 전해 받은 것을 내가 평소에 익히지 않은 채 남에게 (교육을 통하여) 전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