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

 1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
 2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2
 3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3
 4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4
 5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5
 6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6
 7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7
 8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8
 9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9
 10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0
 11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1
 12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2
 13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3
 14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4
 15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파시즘의 반민주성에 관한 소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파시즘에 대한 기본인식

Ⅲ. 파시즘의 등장배경

1. 1차 세계대전의 영향
2. 의회민주주의 체제의 무기력
3. 사회주의세력의 강력한 대두

Ⅳ. 파시즘의 이데올로기

1. 비합리주의(irrationalism)
2. 전체주의(totalitarianism)
3. 민족주의적 군국주의(nationalistic militarism)

Ⅴ. 파시즘의 반민주성

1. 국가지상주의
2. 인간의 평등원리 부정
3. 전쟁 예찬
4. 허구적인 지배 이데올로기 창출 및 광범한 이데올로기 (조작)운동
5. 계급모순에 대한 은폐 및 노동자 계급운동에 대한 억압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Ⅱ. 파시즘에 대한 기본인식

파시즘이란 광의적으로 말하면 1차 대전이라는 세계시장재편의 와중에서 세계시장에로의 진출을 열망하는 금융독점자본, 사회주의 세력의 확장에 의하여 위협을 느낀 자본가계급, 사회 안정과 질서를 바라는 중산층 및 농민, 또한 민족의 영광을 회복하려는 강력한 민족주의 등 제사회 세력들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전체주의적 통제체제를 지칭한다. 이러한 파시스트 국가체제는 의회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체제가 1차 대전 후 산적한 정치 경제 사회적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함에 따라 국민들의 불만은 누적되었다. 이러한 환경을 이용하여 사회주의세력들이 강력하게 대두함에 따라 이데올로기적으로 자유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아울러 배격하고 국가지상주의와 민족지상주의 및 군국주의를 소리 높여 외침으로써 지도자원리 아래서 1922년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일당독재체제를 시발로 하여 히틀러 치하의 독일, 스페인, 일본 등 후발 산업국가에서 등장하였다가 전 인류에게 2차 대전이라는 크나큰 재앙을 안겨주고 대전의 종식과 더불어 사라졌다.
그러나, 협의적으로 말하면 파시즘이란 1922년부터 1945년까지 이탈리아를 지배하였던 파시스트 일당독재체제를 일컫는다. 그리고 원래 Fascism이란 말은 1919년 3월 밀라노에서 「이탈리아 전투단」(Fasci Italiani di Combattimento)이라는 정치단체를 만든 무솔리니가 그의 운동을 Facsismo라고 부른데서 시작되었다. 또한 이탈리아 이외의 파시스트 국가체제들도 대체로 이탈리아와 비슷한 배경 아래에서 등장하였고 비합리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내세움으로써 전체주의적 정치체제를 형성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은 1918년에 독일의 항복으로 종식될 당시까지 세계의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말미암아 전후 유럽에는 이탈리아의 파시즘을 비롯하여 일련의 전체주의 정치사상과 운동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그 중 몇 몇 국가에서는 그 전체주의적 정치사상을 표방하는 정치세력이 정권을 장악하여 제1차 세계대전 전의 유럽과는 다른 새로운 정권들이 유럽을 지배하는 상황이 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식 직후인 1920년에는 28개의 유럽 국가 중에서 4개국을 제외한 24개국에서 의회 민주주의 체제가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 1938년에 이르면 28개국 가운데 13개국이 독재국가로 변화되었다.
참고문헌
1. 김효신, 이탈리아 파시즘과 일본 파시즘 비교소고, 한국 이탈리아어문학회, 이탈리아어 문학, 2007년
2. 이국영, 파시즘의 오늘, 파시즘의 역사적 교훈, 역사비평 1994 겨울(통권 29호)
3. 임지현, 우리안의 파시즘: 내면화된 권력 혹은 자발적 복종에 대하여, 일상적 파시즘의 코드 읽기, 생각의 나무, 당대비평 통권 제8호, 1999년 9월
4. 이유동, 파시즘 그리고 한국사회 민주주의, 실천문학사, 실천문학 1990 여름호(통권18 호)
5. 이영조, 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파시즘: 30년대 유럽 정치경제체제의 역사적 기원, 사 회과학원, 사상 1993년 여름호(통권 제17호), 1993년
6. 사카이 나오키, 제국주의적 국민주의와 파시즘, 생각의 나무, 당대비평 통권 제22호, 2003년
7. 정연선, 파시즘의 등장배경과 파시스트 이데올로기, 고시계사, 고시계 1987년 9월호(통 권 제367호), 1987년
8. 이성형, 중남미 파시즘 논쟁, 창비, 창작과 비평사 부정기 간행물 2호(통권 제58호), 1987년 6월
9. 박한규, 열광의 정치: 일본의 천황제 파시즘과 독일의 나치즘,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 회보, 2008년
10. 김용우, 파시즘이란 무엇인가?-“새로운 합의”의 성과와 한계, 한국서양사학회, 서양사 론, 2002년
11. Wolfgang Shieder, 최호근 역, 20세기의 전시체제, 사총 제55집, 역사학연구회, 2002 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