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

 1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1
 2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2
 3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3
 4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4
 5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5
 6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6
 7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7
 8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8
 9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9
 10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10
 11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11
 12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형태론] 선어말어미 `-더-`, 와 `-거-`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15세기 중세국어 -더-의 의미
2. -더-의 통시적 변화
3. 현대국어의 -더-
4. -더-의 기능
5. -더-의 의미에 대한 견해들과 그 비판
6. -거-의 기능ㆍ의미를 살핀 논의들
7. -거-의 출현양상
본문내용
1. 15세기 중세국어 -더-의 의미

→ Φ(부정법): -더-의 대립
15세기 국어의 경우 과거를 〔-상태성〕술어의 '과거'가 부정법과 -더-에 의해 표현되었으며 이 둘을 서로 대립되었다.
15세기 국어의 -더-는 단순히 과거의 상황을 뜻하는 것이 아니며, 과거의 상황을 그 시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표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15세기 국어의 -더-는 과거의 상황을 제시하는 화자의 위치, 즉 시점이 상황의 내부 있음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더-를 사용한 과거」
·鬼王이 성녀  려 무로  菩薩ㅅ 어마니미 사라 이셔 엇던 행업을 니기더니잇고
(월인석보21:27)
「부정법에 의한 과거」
·그듸 精舍 지 려 터흘   始作?야 되어늘 여슷 하 래 그듸 가들 찌비  쎠 이도다
(석보상절 6:35)
15세기 국어에서 Φ : -더-의 출현여부는 상황 자체의 성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더-가 쓰이는 상황도 반드시 -더-가 출
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부정법이 무표항이고, -더-는 유표항으로서 부정법은 -더-
의 의미를 지시할 수 있고, -더-의 출현여부는 수의적이다.

→15세기 중세국어 현대국어와는 달리 -더-가 화자 자신의 의식적 행위를 나타낸다.
· 太子 l 닐오  내 롱담?다라(석보 6: 24b)

→15세기-더- 시점이 상황시에 위치한다.

→-더-의 담화상의 기능

( a문장은 b문장의 배경을 제시하고 있으며, b와 시간상 중첩된다고 할 수 있다. )

-더-(비완료상)는 흔히 후행상황과 중첩되거나 시간적 순서를 벗어나며, 줄거리를 부연·설
참고문헌
1. 이탁(2002) : 형태소 '-더-'와 '-거-'의 지각적 기능 연구
2. 유동석 : '더'의 의미에 대한 관견
3. 최동주(1996) : 선어말어미 '-더-' 의 통시적 변화 「언어학제 19 호」
4. 김차균(1999) : 우리말의 시제 구조와 상 인식
5. 임홍빈(1993) : 다시 {-더-}를 찾아서 「국어학 23」국어학회
6. 한재영(2000)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7. 차재은 : 선어말어미 '-거-'의 변천 연구 「한국어학연구 12호」
8. 이재성(2001) :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9. 이익섭ㆍ채완 : 국어 문법론 강의 「학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