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변화 양상(중세에서 근대까지), 향가

 1  우리말의 변화 양상(중세에서 근대까지), 향가-1
 2  우리말의 변화 양상(중세에서 근대까지), 향가-2
 3  우리말의 변화 양상(중세에서 근대까지), 향가-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의 변화 양상(중세에서 근대까지), 향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말의 변화 양상 (중세에서 근대까지)
시기
중세 국어
15세기 중엽(1459년, 세조5년)
16세기 후반(1587년, 선조20년)
자료
솅 엉졩 훈민정
소학언해


음운
자음
17자 - , , 사용 (처, 정, 솅)
‘, ’ 소멸, 사용(종성)
모음
11자(단모음-7자) - 사용 (말미)
사용(음가의 혼란)
순경음
사용 (수)
소멸 (받자온, 해로온)
성조(방점)
사용(사성 : 평성, 거성, 상성, 입성)
사용 (혼란)
어두자음군
사용 (들, 메)
사용 (),
음운현상
­모음조화 : 엄격 (서르, 메)
­원순모음화 : 미(未)반영 (스믈)
­구개음화 : 미(未)반영 (디, 펴디)
­두음법칙 : 미(未)반영 (어엿비 너겨)
­모음조화 : 혼란 (비르소미오, 들온)
­구개음화 : 미(未)반영 (현뎌케)
­두음법칙 : 미(未)반영 (닐러, 니근)
문법
조사
주격 조사 : ㅣ, 이, (생략)
비교부사격 : (-에 =~과) - 귁에
주격 조사 : 좌동(左同)
명사형 어미
‘-옴/-움’형 (메)
‘-옴/-움’형 혼란(비르소미오○, 이니라×)
‘-’형 (이니라)
‘-기’형 (아기)
사동법
(-+-이), 니겨(닉-+-이-+-어)
‘-오/우’ 사용 (헐워, 오디)
활용형
‘ㄹㅇ’형 (달아)
‘ㄹㄹ’형 (닐러)



적기
이어적기(연철)
-말미, 노미, 메, 미니라
이어적기(거시라, 비르소미오) + 끊어적기(샤, 몸이며, 이니라, 해로온이라) 혼용
종성표기
8종성법(디) -‘ㄱ, ㄴ, ㄷ, ㄹ, ㅁ, ㅂ,ㅅ, ㆁ’
8종성법 (세가짓 벋이오)
병서
(나란히쓰기)
각자
사용 (말미, 문, 뼌킈)
사용하지 않음 (말)
합용
사용 (들, )
사용 (부모, )
이어쓰기(연서)
사용 (수·)
사용하지 않음 (받자온, 해로온)
한자음 표기
동국정운식 (솅, 정, 문, 뼌)
현실 한자음 (공, 증, 부모, 후셰, 유익)
사잇소리
다양하게 사용 (君군ㄷ字·)
‘ㅅ’으로 통일 (세가짓 벋이오)
기타
어휘
변화
어휘 소멸 : 디, 젼, 시러, 하니라
의미 축소 : 놈(사람, 남자→비속어)
의미 이동 : 어린, 어엿비
의미 축소 : 얼굴(형체→낯)
근대 국어
18세기 후반(1772년, 영조48년)
19세기 말(1896년 4월 7일)
동명일긔
독립신문 창간사
소멸(이랑, 풍덩 등), // 소멸(처→처엄)
×
음가 소멸(표기만 남음) ※ 단모음-8자
(표기만 남음) -표기법의 보수성
소멸
×
소멸
×
‘ㅅ’ 계 된소리화
‘ㅅ’ 계열로 통일
­모음조화 : 혼란(파괴) - ‘나를, 거, 보는’
­원순모음화 : 반영-숫불빗 / 미반영-븕은, 믈밋, 븟흐며
­구개음화 : 반영 - 믈미, 반쟝, 치며
미반영 - 텬듕, 스러디고, 텨로, 디, 됴요, 텬하
­두음법칙 : 미(未)반영 - 냥목
­모음 조화 : 문란(파괴)
주격 조사 : ‘이’를 주로 사용
비교격 : (-도곤 =~보다) - 호박도곤
주격 조사 : ‘-가’ 사용(보기가, 호기가, 글가)
목적격 조사 : ‘-을’ (을, 말마을)
‘-기’형 활발히 사용 (븕기, 통낭기)
명사형 종결 어미 ‘-홈’ 사용(다보게 홈이라)
※ 과거 선어말 어미 ‘-엇’ 사용 (낫던)
※ 선어말 어미 ‘-오-’의 사용(홈이라, 아노라)
‘ㄹㄴ’형 (올나)
‘ㄹㄴ’형 (몰나셔, 걸너)
이어적기(치미러, 거) + 끊어적기 위주 + 거듭적기(중철; 믈밋, 것) 사용
이어적기(쓰거슨, 나흔거시, 아러보지, 일거, 일그니) + 끊어적기 + 거듭적기(쓴, 시니)
7종성법( ‘ㄷ’ 받침을 사용하지 않음)
7종성법 (듯고)
×
사용 : 쓰, 쓴즉
사용(‘ㅅ’ 계열 위주) - 노더니, 놀며, 디
사용 : ‘ㅅ’계열로 통일 (, 여, , 시니)
×
×
한자를 쓰지 않음
한글 전용(띄어 쓰기-원칙 없이 사용)
※ 재음소화 표기 (놉히야, 한, 븟흐며)
※ 재음소화 표기 (놉흔)
감각어(색채어)의 활발한 사용 - 븕웃븕웃
순 우리말 어휘가 많이 나타남
15c 어휘 사용 : 됴흔 글
한문의 영향을 받은 예스러운 어휘 표현 사용 : ‘아니쓰고’(한문직역투), ‘-ㄴ즉’, ‘고로’(의고적)
향가
제목
작자
내용
서동요
백제무왕
-진평왕 딸 선화공주를 차지하려 퍼뜨린 노래
풍요
일반민중
-승려 양지가 불상을 만들 때 성안 남녀가 흙을 운반하면서 부른 노동요
헌화가, 해가
무명노인
-성덕왕시 순정공이 부인 수로부인과 같이 부임도중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꽃을 꺾어 바치며 부름
-이후 부인이 용에게 잡혀가자 다른 노인이 ‘해가’를 부르라 함
모죽지랑가
득오
-‘죽지랑’이란 화랑을 찬양하고 사모한 노래
도솔가
-해가 열흘 동안 두 개가 나타나 없어지지 않았다 함
-여기서 해는 임금을 상징하여 경덕왕시 정치적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해가 둘인 것은 욍위에 대한 도전 임)
제망매가
월명사
-죽은 누이를 그리워하며 지은 노래
-사설에 주술적인 내용은 없음
-사뇌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