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묘지명 VS 고려사

 1  고려묘지명 VS 고려사-1
 2  고려묘지명 VS 고려사-2
 3  고려묘지명 VS 고려사-3
 4  고려묘지명 VS 고려사-4
 5  고려묘지명 VS 고려사-5
 6  고려묘지명 VS 고려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묘지명 VS 고려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묘지명

1.1. 묘지명 이란?

1.2. 묘지명의 역사

1.3. 묘지명의 형식

2. 고려묘지명과 고려사 내용의 차이점

2.1 고려묘지명에는 있지만 고려사에는 없는 내용

2.2 고려묘지명과 고려사가 서로 다른 내용

3. 고려묘지명과 고려사의 내용에 왜 차이가 생기는 걸까

3.1 고려사의 문제

3.2 고려묘지명의 문제

4. 고려묘지명의 가치와 의의

5. 묘지명 연구의 전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2. 묘지명의 역사

: 중국 한나라 말기인 서기 205년 조조가 순장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지상의 비를 제한하자 그것의 축소판인 묘비를 만들어 매장한 것에서 유래, 이 후 남‧북조 시대에 어느 정도 형식을 갖추고 많이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수․ 당대에 걸쳐 더욱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6세기의 백제 무령왕릉 지석과 8세기의 발해 정효공주 묘지명 등이 확인 되지만 죽은 사람의 출신지와 집안 내력, 가족관계, 관직과 행적, 인품, 생몰일시, 그리고 끝에 그 생애를 요약하고 죽음을 애도하는 운문의 명이 포함된 정형화된 묘지명은 고려 시대 전까지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한다. 현재 전하는 고려묘지명들은 거의 모두 관료 계층의 것이며, 시기적으로는 고려 중기인 12세기의 것이 가장 많다. 이는 이들 묘지명이 대부분 당시 수도이던 개성 주변에서 수습된 사실과 관련이 있다. 관료들의 무덤이 지방으로 확산되기 시작하는 것은 고려 후기의 일이다. 묘지명은 그 형태나 내용 체제 등에서 시기에 따른 차이나 변화가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묘지명은 지역적․ 양적으로 그 제작이 확대되고, 재질과 형태․ 제작기법 등이 다양해진다. 묘지명은 20세기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도 일부 제작되었지만, 전반적인 사회변화 속에서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져갔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 『다시 보는 역사 편지』, 시월, 2006
김용선 지음, 『고려금석문연구-돌에 새겨진 사회사』, 일조각, 2004
김용선 지음, 『역주 고려묘지명집성 (상),(하)』, 한림대학교 출판부, 개정판, 2006
네이버 백과사전 naver.com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nric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