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

 1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
 2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2
 3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3
 4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4
 5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5
 6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6
 7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7
 8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8
 9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9
 10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0
 11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1
 12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2
 13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3
 14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4
 15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유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의 소개
1. 발견경위

2. 불비상 명칭의 의미

(1) 계유명

(2) 아미타삼존

(3) 불비상

3. 조상내용

4. 명문 내용 및 해석

(1) 명문내용

(2) 불사와 불상의 조성시기에 대한 논란

Ⅱ.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에 담긴 정신과 그 의미

1.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이 만들어질 당시의 시대상황 및 의미

(1) 당시의 시대상황

1) 백제의 멸망과 그 부흥운동

2) 신라의 삼국통일과 관등수여를 통한 백제유민정책

(2) 백제의 불교의 흐름과 계유명아미타삼존불상에 담긴 의미

Ⅲ. 결론

1. 국왕과 대신 : 백제의 국왕대신인가, 신라의 국왕대신인가의 문제.

2. 명문에 등장하는 이름과 관등, 이를 둘러 싼 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양쪽 측면- 각기 한 면에 4구씩의 주악천(奏樂天;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을 돋을새김해서 전면의 아미타삼존상을 찬탄하게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제 음악에 관한 사료는 고구려, 신라 음악 관련 사료에 비해 부족하다. 하지만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에는 요고(腰鼓), 금(琴), 젓대(笛), 소(簫), 생(笙), 비파(琵琶)는 물론 단소보다 긴 장소, 횡적, 군후, 막목 등의 백제 만의 악기도 발견된다.

(3) 뒷면 - 역시 긴 네모꼴 평면인데 4단으로 나누어 각 단에 5구씩 화불 좌상을 돋을새김해 놓았다. 20불 모두 가슴에 만(卍)자가 새겨져 있으니 앞면 아미타불상과 동일한 불격(佛格)임을 나타낸 것이다.

☞ 쉬어가기 코너


- 백제의 불교 정착과 불상
백제는 4세기 후반 불교를 처음 접한 뒤 민중 사이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시간이 걸려서 1세기가 지나서야 본격적으로 사원을 건립하였다.
백제의 경우 현존하는 불상은 모두 사비시대 이후의 것이고 웅진시대의 불상은 지금까지 한 점도 발견되지 않아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없다.

- 일본으로의 전파
충남 연기 지방에서 발견된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은 호류지 삼존상의 계보추정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여기서 호류지 삼존상은 일본 나라의 호류지 금장의 석가삼존상으로 아스카조각을 주도했던 도리 양식의 대표작이다.
통일신라 초기인 673년에 백제 유민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전통이었던 백제 조각양식으로써 조성한 귀중한 예로, 따라서 전반적인 양식은 7세기 초로 편년해도 좋을 정도로 고식을 띠고 있다. 비록 시대는 늦지만 구양식을 답습한 것이므로 호류지 삼존상의 계보추정에 귀중한 단서를 제공한다. 재료 역시 돌이지만 높이 43cm의 소형이어서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소형 금동불처럼 미술양식 전파의 수단이 될 수 있다.

- 계유명아미타삼존불비상 vs 호류지 석가삼존상
** 공통점
① 기본구도: 일광삼존불의 정형
② 본존불: 상현좌의 형식.
얼굴, 어때, 무릎 바깥면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정확한 이등변 삼각형
이 선을 연장하면 상현좌의 좌우 바깥측면으로 연결.
-> 미리 계산된 일정한 조형틀 속에서 조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③ 바닥에서 피어오른 연꽃의 협시보살: 배치방법이 서로 동일
왼손 위로 들고 오른손을 허리 근처에 내린 수인과 하트모양 광배형태
④ 광배형식: 연판형 광배 테두리에 주악천 배치
바깥에 넓은 테두리 두르고 그 내부에 다시 연주문을 돌린 두광배형식
두광 정상에 연꽃에 높은 보주를 배치
참고문헌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푸른역사
, 이호섭
, 강우방,곽동석,민병찬, 솔
, 백제불교5-35번째, 불함문화사
, 최완수, 대원사
, 백유선, 두리미디어
, 심정보, 1995
, 김수태, 󰡔新羅文化󰡕 16('99.8), 1999.
, 최몽룡, 주류성
, 이남석, 서경
, 조경철, 2006
, 김수태, 1991
네이버 백과사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