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론] 제망매가

 1  [향가론] 제망매가-1
 2  [향가론] 제망매가-2
 3  [향가론] 제망매가-3
 4  [향가론] 제망매가-4
 5  [향가론] 제망매가-5
 6  [향가론] 제망매가-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향가론] 제망매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독
2. 원문
3. 해석
4. 토론거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吾隱 去內如 辭叱都 오은 거내여 사질도
나 간다 맔도 - (오꾸라) 나 가다 맔도 - (양주동) 나 가다 말도 - (홍기문)
난 가다 말叱도 - (양희철) 나 가 말ㅅ도 - (정열모) 난 가다 말도 - (류렬)

*吾, 나라고 해석. 隱, ‘는’은 본래의 ‘은’이라는 음에서 벗어나 있다. 때문에 ‘ㄴ’으로 해석한다. 去는 가, 內는 , 如는 ‘다’로 해석된다. 辭는 ‘말’, ‘말’이라는 뜻이 있다. 叱은 촉음 촉음, 소리와 소리 사이에서 폐쇄되는 소리. 국어에서는 치음(齒音)의 ‘ㅅ’으로 그 소리를 표기하고 있는데, ‘냇가’, ‘숫자’ 따위의 받침 ‘ㅅ’이 그것의 표기이다.
부호의 叱로 본다. 都도. (양희철)
*맔도, 경상도 방언에서 나타나는 속음으로 앞선 체언과 ‘도’ 사이에 ‘ㅅ’이 들어간다. (양주동)
ex) ‘말또(말) 몬하겠다’라는 말을 아직도 쓰고 있음.
*중세어 ‘말’에서 유추하여 그 고대형으로 ‘맔’또는 ‘마’을 재구하였다. (이기문)
*叱은 ‘말’의 ‘ㄹ’에 대한 음차이다. (류렬)

毛如 云遣 去內尼叱古 모여 운견 거내니질고
몰으다 일으고 가닛고 - (오꾸라) 몯다 닏고 가나닛고 - (양주동)
음ㅅ 운겨 가니ㅅ고 - (정열모) 모 니르고 가닛고 - (홍기문)
아모 모다 니고 가니ㅅ고 - (신재홍) 毛如(텰답, 모다) 니고 가닛고 - (양희철)
몯 니고 가닛고 - (금기창) 모 니고 가니시고 - (류렬)

*毛如, ‘모두’의 의미를 지닌 모다로 읽음. 동시에 ‘가볍게’의 은유인 ‘텰답’으로 읽음. 毛如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시어이다. (양희철)
*都毛如 云遣 去內尼叱古, 원문과는 띄어쓰기를 다르게 했다. 都의 훈독 ‘아모’에 ‘모’와 ‘다’가 붙었다. ‘아모다’는 ‘아무렇다. 어떻다’는 말로 해석 가능. 문맥상 ‘어떻게’로 읽는게 자연스럽다. (신재홍)
*‘못’의 옛형태 ‘몯’의 원형태인 모다/모에 대한 뜻-소리옮김이다. (류렬)
*‘모’의 경우, 모->모->몯의 중간형. (홍기문)
*음ㅅ, 패휴집과 후한풍연전에서 毛가 無와 통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정열모)
**비판; 毛如와 ‘몰으다(不知)’의 연관성이 다소 떨어진다. ‘몯다’는 미진未盡의 의미로서 해석. 다만 毛의 음이 모라는 점에서 ‘몯’으로 읽을 당위성이 다소 떨어진다. ‘몯’으로 읽는 경우는 如를 ㅅ/ㄷ의 음절말 자음표기로 사용하여 해석. 如는 훈차자이기 때문에 ‘다’에서 ‘ㅏ’가 빠질 수 없다. ‘몯’으로 읽을 수 없음. 叱이 쓰이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다. ‘모’의 경우는 모->모->몯의 중간형 ‘모’라고 해독. 이와 비슷하게 ‘모다’가 있다. 다만, 실증이 되지 않았다. ‘털/터럭다’의 해독은 비유가 적절치 않음. 음ㅅ, 향찰에서 속음은 잘 쓰지 않음. 굳이 無라고 해도 될것을 어렵게 쓸 이유가 없음.

於內 秋察 早隱 風未 어내 추찰 조은 풍미
어  이른 매 - (양주동) 어 슬철 이른  - (정열모)
어느  이른 매 - (홍기문) 오나 가잘 일온 바라매 - (김선기)
어  이르-ㄴ 메 - (양희철)
참고문헌
1) 나경수,『향가의 해부』, 민속원, 2004
2) 황패강,『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보광문화사, 2001
3) 양희철,「제망매가의 표현과 의미」,『향가연구』, 태학사, 1998
4) 김진욱,『향가문학론』, 역락, 2005
5) 정상균, 『한국고대시문학사 연구』, 한신문화사, 1984
6)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7) 김종규, 『향가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8)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9) 류렬, 『향가연구』, 박이정, 2003
10)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2
11)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2) 홍기문,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