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

 1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1
 2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2
 3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3
 4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4
 5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5
 6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6
 7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7
 8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8
 9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9
 10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10
 11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 고소설을 새롭게 읽기 위한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전 문학 교육론

2. 고전문학과 새로운 매체와의 만남
1) 소설 2) 희곡 3) 시 4) 애니메이션 5) 공연예술

3. 호동설화의 변용 - 게임 구상 기획

4. 애니메이션 삼국유사를 통한 변용 양상

5. 우리 설화 친숙하게 만들기 - 설화 변용 기획
본문내용
들어가며

80년대, 거대 담론이 유효할 때까지 문학은 한국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고 사상의 향방을 이끄는 중요한 글쓰기로 군림해왔다. 시대를 고민했던 젊은이라면 누구나 한번쯤『광장』이나 『태백산맥』등을 밤새워 읽으며 분단의 상처에 대해 고민해 보기도 하고, 역사의식의 반대편에 있는 시원(始原)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기도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그 문학 작품들이 점차 우리 시대의 중심부에서 멀어지고 있다. 작품이 우리에게 일으키는 반향의 폭이 좁아졌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문학 작품 텍스트 자체를 일상생활과 멀리한다. 다수의 사람들은 이러한 원인으로 영상 매체의 출현과 디지털 미디어로 인한 의사소통 구조의 변화를 들고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인식하고, 이에 발맞추어 우리의 문학 교육은 어떠한 양식으로 변화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여기에서는 특히 고전 설화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 지금까지의 교육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애니메이션 삼국유사, 호동설화 등을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변용한 예를 통해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연결하기, 일반인에게 친숙한 고전 만들기 등 각각 비판적인 시각의 분석을 통하여 독창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1. 고전 문학 교육론

우리는 고전문학을 당연히 가르쳐야 하고, 배워야 하는 것으로 인식해 왔다. 하지만 올바른 고전문학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그에 앞서 고전문학을 과연 왜 알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고전문학이야말로 민족역사 창조의 이상을 가장 뚜렷하게 우리 앞에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이 이상을 몸소 체득함으로써 참다운 현실적 민족적인 생활을 할 수 있고, 또 이로 인해 건전한 민족의 역사를 창조할 수 있다. 김성배, 진태하, 『(고등학교)고전문학』, 문호사, 1968, p. 5

* 첫째는 우리 국민으로서의 의무감이다. 자기의 조상을 알고 또 그를 존경할 수 있는 것은 인류만이 가질 수 있는 능력이요, 또 인간의 존엄성이 여기에 깃들여 있는 것이다. (중략) 둘째는 실생활면에 있어 고전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싶다. (중략) 어느
참고문헌
김성배 ․ 진태하,『(고등학교)고전문학』, 문호사, 1968
김형규,『고전교육의 목적과 교재 내용』, 교육 제 9호, 서울사대 교육회, 1959
정병헌,「고전문학교육의 본질과 시각」,『고전산문교육의 이론』,이상익 외, 집문당, 2000
배수찬,「고소설 표현의 양상과 구술성의 관계 연구」,『고전산문교육의 이론』, 이상익 외, 집문당, 2000
오대혁,「호동설화의 의미와 현대적 변용」,『우리 역사 인물 전승1』, 김태준 · 김승호 외, 집문당, 1994
조동일,『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1990
최유찬,「게임의 서사」,『내러티브』,2000년 가을 · 겨울호
최유찬,「컴퓨터 게임과 스토리텔링」,『사이버 문학의 이해』, 김종회 · 최혜실 편저, 집문당, 2001
최혜실, 『디지털 시대의 문화 읽기』, 소명출판, 2001
황혜진,「애니메이션 삼국유사의 의미작용 연구」,『고전산문교육의 이론』, 이상익 외, 집문당,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