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한글창제

 1  [국사] 한글창제-1
 2  [국사] 한글창제-2
 3  [국사] 한글창제-3
 4  [국사] 한글창제-4
 5  [국사] 한글창제-5
 6  [국사] 한글창제-6
 7  [국사] 한글창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사] 한글창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배경과 목적
2.경과와 과정
한글의 원리
영향과 의의
결론
1.한글이 만들어 졌을 때 왜 천시를 받았는가?
2.집현전의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3. 한글의 기원설중 가림토와 신대문자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무엇인가?
4. 세종 때 유교의 확고한 기반이 갖추어졌다고 했는데 그 기반에는 무엇이 있는가?
본문내용
1.배경과 목적

조선은 고려의 여러 폐단을 개혁하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하여 국가 지도 이념으로서 '유교'를 채택하고 사당주의(事唐主義)에서 탈피, 숭명정책(崇明政策)으로 전환했다.
세종 때에 이르면서 유교의 확고한 기반이 갖추어진다. 세종은 집현전(集賢殿)을 설치(세종2년 3월)하여 유교교육과 새로운 제도의 조사 연구에 힘을 쏟았는데 이 때의 정치와 학문의 기본은 유교이념(儒敎理念)과 성리학(性理學)이었다.
유교에 대한 관심의 고조는 필연적으로 한문에 대한 연구를 수반하였고 아울러 國字가 없었기에 나랏말의 필요성도 느끼게 되었다. 이것이 훈민정음 창제의 시대적 배경이다.
한글 창제의 역사적 배경은 창제 동기가 단순히 '어린 백성을 어여삐 여겨' 만들었다는 통설의 의미보다는 봉건지배층의 행위에 대한 것에 있다. 무신의 난으로 고려귀족계급의 지배질서가 무너지면서 일반 백성들의 정치적, 사회적 의식에도 변화를 가져와 자의식을 찾게 된 것에다가 고려의 패망과 조선의 성립이 중세사회자체를 동요시킨 결과 지배계급이 중세적 지배체제의 재확립을 위해서 농민의 지지가 필요했던 것이다.
자의식의 성장은 문자로의 의사표현도 바라게 되어 농민으로 하여금 소외된 ‘문자 생활권으로의 진입’을 요구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중세적 지배질서의 재확립을 위해서라도 백성을 지배계급의 입맛대로 '훈민(訓民)'할 필요성이 있었고, 그래서 '정음(正音)'을 만들었던 것이다. 훈민정음을 만든 초기에 언문삼강행실도, 언문열녀도, 언문효경과 같은 유교적 덕목을 담은 서적을 펴내 백성들에게 편찬 보급한 것은 이러한 의도의 발로다. 용비어천가와 같은 이씨의 정권 장악을 합리화하는 글을 지은 것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담고 있었다. 또한, 세종 때의 많은 역사적 발명품, 물시계나 측우기나 농사직설 같은 농업서적, 토지세의 재편 등도 농민의 지지를 획득해 불안정했던 이씨정권을 안정시키려는 노력의 결과였다.

2.경과와 과정

세종의 훈민정음 제정이 언제부터 구상되었고 착수되어 어떤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는지에 대하여는 기록이 전혀 없어 알 수 없다.《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의하면 세종 25년 12월조에 ‘이달에 상께서 언문 28자를 친히 제정하였다(是月 上親制諺文二十八字)’라고 기록했을 뿐 그 경과에 대하여는 전혀 언급이 없다. 다만, 처음에는 세종 단독으로 구상하였다 하더라도 여러 신하의 중지(衆智)를 모아 상당한 기간에 걸쳐 추진되었을 것으로 추측될 따름이
참고문헌
참고문헌 : 세종대왕과 그의 인재들. 박영규 지음. 들녘
참고자료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110104&docid=240491
http://www.hangeulmuseum.org/kor/default.jsp
http://www.hangul.or.kr/
http://www.gugeo.com/hmbook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