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

 1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1
 2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2
 3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3
 4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4
 5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5
 6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6
 7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7
 8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8
 9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9
 10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10
 11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11
 12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12
 13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민속문학의 현대적 존재 양상
1.설화
2.민요
3.무가(巫歌)
4.민속극
5.판소리
5.속담.수수께끼
Ⅲ.나가며

본문내용
Ⅰ.들어가며
구비문학(口碑文學; oral literature)은 곧 '말로 된 문학'이다. 그것은 '글로 된 문학'인 기록문학(記錄文學)과 상대되는 문학의 기본 영역이다. 구비문학 이외에 '민속문학'이라는 용어도 많이 쓰이는데, 전자가 문학의 측면을 중시한 개념이라면, 후자는 민속의 측면을 중시한 용어라 할 수 있다.
'구비(口碑)'는 '대대로 전해오는 말'이라는 뜻으로 '구전(口傳)'과 뜻이 통한다. 곧 '구비문학'은 '구전문학'과 유사한 용어인데, 현재 전자가 학술용어로 정착돼 있다. 어의(語義)에 집착할 경우 말로 된 문학 가운데도 '대대로 전승돼 온 것'만이 구비문학이 되는 셈이지만, 일시적·현재적으로 창조·향유되는 것들까지도 한데 포괄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정의 '말'이 구비문학이 될 수 있으려면 '문학'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곧 '미적으로 형상화'되어 흥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과연 '말로 된 문학'이 온전한 문학성을 갖출 수 있는가 하는 논란이 한때 없지 않았으나, 이는 이미 해소된 지 오래다. 구비문학이 가져다주는 재미와 감동은, 그 편폭이 기록문학보다 더 넓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기록문학이 대중적으로 보편화되지 않았던 전통사회에 있어서 특히 그러하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강등학 외. 2000. 월인
민족문학사연구 13호. 1998.
민속문학이란 무엇인가. 김선풍외. 1993
한국구비문학회(http://www.koralit.net/)
PC통신 유머방을 통해 본 현대이야기 문화의 단면. 신동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