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

 1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1
 2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2
 3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3
 4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4
 5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5
 6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6
 7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제한점
Ⅱ. 삼족오의 표현양식
1. 한-당대의 삼족오
2. 고구려의 삼족오
1) 집안 지역의 삼족오
2) 평양 지역의 삼족오
Ⅲ. 삼족오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의식 세계
1.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삼족오 인식
2. 고구려의 삼족오 수용에 보이는 삼족오 인식과의 차이
Ⅳ.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삼족오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의식 세계

1.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삼족오 인식
한대(漢代)의 삼족오 표현 양상과 고구려의 삼족오 표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두 지역의 삼족오 표현 양상은 일중삼족오가 주류를 이루는 점이나 두꺼비가 대부분 달 속의 대칭 요소로 표현되는 점 등 강한 연계성을 보여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구려의 삼족오 인식에 한대의 삼족오 인식이 반영되어 있을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양자 사이의 문화적 영향에 대하여는 김원룡에 의해 이미 언급된 바 있다. 김원룡,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원에 대한 중국의 영향」,『진단학보 21집』, 1960. pp.425-488.

1) 태양숭배사상과 조류숭배사상의 연합 토템
한대와 고구려의 삼족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은 성좌형에 보이는 日中三足烏月中蟾蜍상과 신격형의 奉日中伏羲月中蜍蝸상의 삼족오 전호태는 성좌형의 일월 인식이 고대 사회의 과학주의와 합리주의의 강한 영향 아래 등장한 산물이라면 거기에 삼족오가 더해지는 것은 고대인의 합리적 사고방식 속에 내재된 재래 신앙적 요소로서의 일월 신앙에 대한 신화적 요고가 가미된 것이라고 주장한다(전호태, 「한-당대 고분의 일상과 월상」, 『미술자료』, 1991. p.11).
이다. 두 유형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이는 삼족오의 유형은 고분의 천장에 성숙(星宿)과 함께 묘사한 日中三足烏蟾蜍상이다.
이러한 성좌형의 삼족오는 시기와 지역을 불문하고 한-당대의 모든 양식의 무덤에서 발견되고 있다. 일중삼족오가 보편화된 삼족오의 표현 양식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해 속의 삼족오는 해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삼족오는 고대인이 새와 태양을 거의 동일시한 존재로 인식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제로 고대인들에게 하늘은 절대적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며, 태양은 인간을 비롯한 지상의 모든 생명과 직결된 우주 자연의 절대적인 표상이었다. 태양 안에 까마귀가 살았다는 인식은 실제 중국 문헌에도 나타나며, 까마귀는 곧 태양과 같은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한-당대 고분의 일부에서 보이는 삼족오는 태양과는 별개로 구미호와 등장하거나 삼족오가 단독으로 표현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한대에서는 처음부터 삼족오와 태양이 결합한 것이 아니라 서왕모 신앙에서 볼 수 있듯 일월신을 보좌하는 권속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후한대에 이를수록 원륜만의 일상이 없어지고, 삼족오와 결합한 일중삼족오가 출현하는 것은 태양숭배사상과 조류숭배사상이 연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고구려의 삼족오는 한대 초기와는 달리 태양과 삼족오가 별개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태양 안에 삼족오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태양숭배신앙과 조류숭배신앙을 동일시한 우주사상이 고구려에 있었으며, 금조(金鳥)는 곧 태양의 화신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달 속의 대칭 요소 표현과 음양조화사상
한대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일중삼족오와 대칭적으로 많이 등장하는 것은 두꺼비이다. 두꺼비와 관련하여 삼족오에 반영된 의식은 음양조화사상과 관련된 신화적 인식이라 할 수 있다.
홍흥조(洪興祖)의 「禁辭補注」에는 “양은 삼으로 이루어졌기에 양을 상징하는 해 안에는 삼족오가 있는데, 이것을 양정(陽精)이라 한다.” “陽成於三 故日中有三足烏者 陽精也”
라고 하였다. 아마 세 발 중 하나(가운데)는 남성의 상징인 양물로 해석하고 있는 듯하다. 삼족오가 양의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삼족오와 대칭적으로 등장하는 월중섬여(月中蟾蜍)와 옥토(玉ꟙ)에 대해서 「文選」에 “달은 설명이 부족하지만 두꺼비와 토끼는 음양으로 거처하고 밝은 양은 음을 제압하고 음은 양에 의탁한다.”고 하여 두꺼비를 음의 상징요소로 해석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문헌을 통해 볼 때,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에서 널리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일월에는 단순히 일월뿐만 아니라 일월 안에는 특별히 삼족오와 두꺼비에 관한 신화적 인식이 가미되고 있음
참고문헌
1. 원전 및 고문헌

『회남자』(劉安 編著, 高誘 注, 1989, 上海古籍出版社)
『회남자』(劉安 編著, 안길환 편역, 2001, 명문당)
『산해경』(朴一峰 편역, 1995, 육문사)
『산해경』(정재서 역주, 1993, 민음사)

2. 단행본
김원룡, 『한국벽화고분』, 일지사, 1980.
서경호, 『산해경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일연, 이민수 역,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1983.
전인초 ․ 정재서 ․ 김선자 ․ 이인택, 『중국 신화의 이해』, 아카넷, 2002
김진섭, 『교과서에도 나오지 않는 우리 문화 이야기』, 초당, 2001.

3. 논문
송미화,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 교원대석사학위논문, 2003.
김원룡,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원에 대한 중국의 영향」,『진단학보 21집』, 1960. pp.425-4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