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

 1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1
 2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2
 3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3
 4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4
 5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5
 6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체육활동에서 찾아본 한국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학과 한국체육의 접목

삼국시대의 놀이와 체육

고려시대의 놀이와 체육

본문내용
삼국시대의 놀이 중 오늘날에도 스포츠로써 행해지고 있는 놀이가 있다. 그것은 바로 씨름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씨름은 두 사람이 각기 띠를 두르고 이를 서로 잡고 힘을 겨루며 묘기를 부려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소박한 경기 형식의 놀이이다. 이 놀이가 농경시대부터 제례 행사의 하나로 거행되어온 경기라고 주장하기도 하나 삼국시대의 문헌에는 씨름에 관한 기록이 없다. 한국의 씨름에 관한 사료로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고구려의 옛 도읍지 환도에서 발견된 각저총(角抵塚)의 벽화를 들 수 있다. 이 벽화를 묘사해보자면, 큰 나무 밑에 두 선수가 벌거벗은 몸에 샅바만을 걸친 채, 손을 상대의 샅바에 돌리고 머리와 머리를 서로 맞대고 힘을 쓰는 중이다. 한 사람은 어깨에 힘을 잔뜩 넣고 있어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며 상대편은 위로 향해 있고 입을 약간 벌려 거친 숨을 쉬고 있는 듯하다. 웅장한 체구를 가진 두 사람의 약동하는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두 사람 옆에는 지팡이에 몸을 지탱하고 구경하고 있는 백발 수염의 노인과 앞다리를 세우고 목이 마른 듯한 표정으로 누런 개가 한 마리 앉아 있다. 노인은 두 사람의 씨름을 심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삼국시대의 씨름이 5세기경의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보이는 것과 같다고 해도 그 방법이 현재의 것과 같다고 입증할 만한 자료는 없다. 다만 문헌자료로서 에 각력(角力), 각저(角觝)라는 낱말을 찾을 수 있고 이것이 씨름과 비슷한 놀이로 생각된다.


화랑도는 신라시대 청소년으로 조직된 민간수양단체로 심신을 단련하고 교양을 쌓으며 사회생활의 규범을 배워 국가 비상시에는 전투원으로도 될 수 있는 사회의 중심인물을 양성하며, 전통을 존중하며, 협동정신과 신의, 용기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랑도가 신라가 매우 다난한 시기, 즉 진흥황이 북진정책을 취해서 고구려, 백제와 싸워 한강유역을 점유하였을 때 체계화되었다고 하는 것은 확고한 고대국가를 성립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청년들을 교육할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전기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어떤 화랑은 무(武)로써, 어떤 이는 노래와 춤으로써, 어떤 이는 충효로 그들의 꽃다운 이름을 역사에 남기고 있으며, 이것은 화랑도의 교육에 신체운동, 음악, 도덕이 내포되어 있어 그 교육의 목적이 심신의 조화가 잡힌 유용한 인재의 육성에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 화랑도들의 인격 형성에 커다란 역할을 한 것으로는 여러 가지의 신체활동이 있다. 화랑이 실시하고 있던 신체운동에는 축국, 수렵, 그리고 활, 칼, 기마술 등의 무술이 있으며, 이것들이 그들의 몸과 마음을 단련시키기 위해 이용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들 신체운동 가운데서도 무술은 화랑도들의 전사적 특성을 한층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그들은 무술을 통해 신체 능력의 탁월성을 높임과 동시에 무사도라 할 수 있는 것을 형성시키기 위해 서로의 경쟁의식을 고양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놀이와 체육

고려시대의 체육을 살펴보기 전에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고려귀족사회 체육의 사상적 기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