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 연계증권

 1  생명보험 연계증권-1
 2  생명보험 연계증권-2
 3  생명보험 연계증권-3
 4  생명보험 연계증권-4
 5  생명보험 연계증권-5
 6  생명보험 연계증권-6
 7  생명보험 연계증권-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명보험 연계증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험연계 증권의 정의

2. 보험 연계증권의 유형

(1) 미래 현금흐름의 증권화(value in force)
(2) 준비금 펀딩 증권화(reserve funding securitization)
(3) 생명보험 리스크의 증권화(risk transfer securitization)
(4) 거대자연재해 리스크의 증권화(CAT bonds)
(5) 순수자산(보험회사의 상업모기지 등) 증권화

3. 보험 연계증권의 효용
(1) 보험회사
(2) 보험계약자
(3) 정부
(4) 투자자

4. 생명보험 연계증권(Longevity bonds)
(1) 생명보험연계증권의 특징
(2) 장수리스크의 개념

5. 생명보험 연계증권과 거대자연재해 연계증권의 차이점

6. 생명보험연계증권의 발행현황


본문내용

(5) 순수자산(보험회사의 상업모기지 등) 증권화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보험회사가 가지는 부동산, 매출채권, 주택저당채권(mortgage) 등을 유동화전문회사에 양도하고, 이를 기초로 유동화증권을 발행하여 대상자산을 유동화 하는 방법이다.
3. 보험연계증권의 효용

(1) 보험회사
재보험시장에서 제공할 수 없는 추가적인 재보험 인수여력(underwriting capacity)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폭넓은 범위의 보험인수가 가능해진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위험 인수능력을 확보하여 재보험료 인상을 동반하는 경성시장(Hard Market)과 재보험료 인하를 동반하는 연성시장(Soft Market)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보험인수주기 (Capacity Cycle)와 관계없이 재보험을 위한 자본비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형사고 발생을 대비한 엄청난 책임준비금 설정 부담 및 이로 인한 영업 손익의 급격한 변동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대형사고 발생시 수많은 재보험(또는 재재보험회사)중 일부의 도산시에도 그로 인하여 보험금회수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으나 CAT bonds 발행 시에는 보험금 지급에 필요한 자금을 trust에 미리 확보한 상태이므로, 보다 안정적인 보험금 회수가 가능하다.

(2) 보험계약자
전통적인 보험시장에서는 재해가 빈발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보험계약자는 그들의 리스크가 인수가 거절당하거나 거대 자연재해 리스크를 담보할 수 있는 보험 상품이 없었는데, 보험연계증권이 보험에 필요한 재원을 자본시장에서 조달함으로써 새롭게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3) 정부
종래 재난지원금의 무상 지원 대신, 자연재해를 담보하는 보험이 확대되면 국민들이 직접 보험을 구입하여 손실 예방에 피해자가 자비 부담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재난지원금의 정부예산이 사후적인 보상보다 사전적인 예방에 자금을 지원할 수 있어 반복적인 자연재해 피해를 막을 수 있다.

(4) 투자자
자연재해는 베타가 0에 가깝기 때문에, CAT bonds는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에게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효율적 투자프런티어를 보장한다. Longevity bonds도 사망률예측차이(예측사망률-실제사망률)에서 비롯되는 장수리스크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 장수리스크도 베타가 0에 가까워 효율적 투자프런티어에 일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