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

 1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
 2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2
 3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3
 4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4
 5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5
 6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6
 7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7
 8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8
 9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9
 10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0
 11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1
 12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2
 13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3
 14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4
 15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5
 16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6
 17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7
 18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8
 19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19
 20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체육발달사] 광복이후의 스포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복 이후의 사회와 교육

2. 광복 이후의 체육

3. 광복 이후의 스포츠

4. 광복 이후의 체육사상
본문내용
체육의 편제 및 목적

1945년 미군정 학무국은 중등학교 교과목 편제와 시수를 발표
- 체육이 주당 2~3시간 배당
교수요목에 나타난 체육의 목적
-“신체를 단련하고 정신을 연마하여 강건불요의 심신을 육성하며, 조국애와 근로정신을 강조하여
국방력의 증강에 기여”
1946년 이후 체육 교과목의 명칭 변경‘체육ㆍ보건’
초급중학교는 주당 5시간, 고급 중학교는 3~5시간 체육시간을 교육과정에 편성
1949년 1월 23일 ‘학도호국단’ 결성
-‘대한민국 학도호국단 규정’에 따라 발족한 학생자치단체.
학생층의 사상통일과 단체적 훈련을 강화하여 애국심을 함양시키고 국가에 헌신, 봉사를 목적

체육 교원의 충원과 양성

광복 당시 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은 몇 명에 지나지 않았고, 1948년까지
체육 교과서도 없이 수업을 진행할 정도로 체계가 미비
→ 문교부는 이화여대와 서울대를 비롯한 각 대학에 체육학과를 인가하고 조선대와
신흥대학에 2년제 체육학과를 설치하여 체육지도자 양성

학교 체육제도

학교 체육의 기반조성
- 박정희 정권의 등장 이래 각종 체육제도와 규정이 정비
- 학교 보건법, 학교신체검사법, 체력장제도, 학교체육 시설설비 기준령 도입

체력검사
- 1970~1971년 전국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 등급별 점수는 고등학교와 대학 입학전형에 점수로 반영
- 1973년 부터 오래달리기를 제외한 5종목의 체력장 실시. 6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점수를 매김
(10m 달리기, 제자리 멀리뛰기, 턱걸이, 윗몸일으키기, 던지기)
- 1980학년도 입시부터 절대평가로 개선됨

엘리트 스포츠 정책

교기 육성제도
전 초중고의 지리적 특성과 사회상황에
적합한 하나의 스포츠 종목을 정할여 그
분야의 우수 선수를 발굴 육성 하도록 한
국가 스포츠 정책
우수한 선수는 지역 사회의 후원을 받음
과열 경쟁으로 선수들의 학습권을 앗아
가는 등 파행적인 운영으로 문제점 야기


소년체전
전국 체육대회의 규모가 커지자 대한
스포츠회가 주관하여 소년 체육대회를 개최
소년, 소녀에게 기초적인 스포츠를 보급하고
스포츠 정신을 고취하며, 학교 체육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바지
우수선수의 조기 발굴 등 우리나라 대표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줌


미군정기의
스포츠


대중 스포츠 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될 수 없는 상태에서 미군이 교육부의 행정 조직에
체육과를 두고 학교 및 사회 스포츠 정책을 담당
민간 단체에서 민족 체육 재건의 길을 모색
⇒ 각종 체육단체가 설립되고 전국 체육대회가 열림


이승만 정권기의
스포츠


6.25 이후 불안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대한체육회를 중심으로 스포츠 운동이 계속됨
but, 민간체육단체의 노력은 계속되었으나, 정부가 뚜렷한 체육 진흥정책을 수립하지 못함
사회적 상황이 스포츠 문화가 대중화될 수 있을 정도로 안정되어 있지 못한 상태였고,
스포츠는 학교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극소수의 선수들이 국제대회에 참가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박정희 정권기의
스포츠


한국의 스포츠 문화가 급격히 발달한 시기 ⇒ 스포츠 혁명
1970년대부터는 한국 스포츠의 발전 기반이 조성 → 직장체육의 활성화
시ㆍ도 체육회, 한국 레크레이션협회, YMCA, 어린이 회관, 보이스카우트, 걸스카우트,
한국산악회 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체육 활동이 활성화


전두환, 노태우
정권기의 스포츠


전두환ㆍ노태우 정권은 대중 스포츠에 관심을 쏟았다. →“국민체육진흥 3개년 종합계획”
사회 스포츠 진흥 운동이‘엘리트 스포츠’중심에서‘대중 스포츠’중심으로 전환
‘국민생활체육협의회’가 창설


수영

1916 : 원산청년회 주최로 수영강습회를 최초 실시
1929 :‘조선수영구락부’결성. ‘제1회 전조선수영대회’개최
1936 : 종합체육대회의 한 종목으로 흡수
1946 :‘조선수상경기연맹’창립
1948 : ‘조선수상경기연맹’→‘대한수상경기연맹’명칭 변경
1960 :‘대한수상경기연맹’→‘대한수영연맹’명칭 변경
1970년대 : 조오련을 비롯한 아시아 정상급 선수들 배출
1980년대 : 실내 수영장이 늘어나면서 생활육활동으로 자리잡음
2006 :‘세계선수권대회’박태환 금메달
2008 :‘베이징올림픽’박태환 금메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