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

 1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1
 2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2
 3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3
 4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4
 5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5
 6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6
 7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7
 8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최인훈 작가 둥둥 낙랑둥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최인훈 작가에 대해서

◉ 최인훈 희곡의 특징

◉ 「둥둥 낙랑둥」





①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② 호동왕자와 왕비

③ 그 외의 인물들

◉ 역할 극 표현의 의미

◉「둥둥 낙랑둥」의 공간 구조 분석 및 상징성

◉ 이해와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 중략 …
식은밥 덩어리 주워 넣듯 그렇게 함부로 시큰둥 주워 넣고 하늘로 올라간다.
난쟁이 다시 나와 처형대로 간다. 왕자의 관을 머리에 쓴다.
다음에 왕비의 치마를 입는다.

호동과 왕비는 자신의 선택에 의해 죽음을 맞게 된다. 위의 지문에서 보듯이 난쟁이가 머리에 왕자의 관을 쓰고 왕비의 치마를 입는 것은 호동과 낙랑공주와의 사랑의 완성을 의미한다. 호동왕자와 왕비의 관계 설정은 호동을 끊임없이 괴롭힌다. 만약 왕비가 낙랑공주와 닮은 쌍둥이가 아니었다면 호동은 낙랑공주에 대한 죄책감에서 보다 자유로웠을 것이다. 그러나 낙랑공주와 쌍둥이라는 관계설정 속에서 호동은 끊임없이 과거에 대한 회상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이것은 곧 비극적 결말로 이어지는 구조를 보인다.

③ 그 외의 인물들
「둥둥 낙랑둥」에는 비극적인 상황에 희극적인 장면이 연출되는 특징이 있다. 꼽추 난쟁이가 등장하여 요설(수다스러운 말)을 내뱉으며 광대 짓을 하고 노쇠한 고구려왕이 활을 쏘려 하지만 망신만 당하는 극 행동은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이다. 이처럼 비극적인 장면에서 희극적인 장면이 삽입되는 것을 역설적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설적 구성은 「둥둥 낙랑둥」의 소외효과를 일으킨다. 꼽추 난쟁이와 왕의 우스꽝스러운 짓은 비극적인 상황에서 관객들의 긴장을 이완시키면서 호동의 결점과 고구려왕의 결점을 드러낸다. 이들의 극 행동은 관객의 비판적인 시각을 유도하는 행위 장면이다.

◉ 역할 극 표현의 의미
역할 극은 호동과 공주, 왕비라는 삼각관계의 구조를 만들어 낸다. 이 삼각관계의 구조는 호동에게는 낙랑공주와 이루지 못한 허기진 사랑을 채우려 하고 왕비에게는 고구려로 시집오면서 첫눈에 사모하던 호동과의 사랑을 실현하는 방편으로 작용된다. 호동에게 왕비와의 사랑하는 시간은 꿈이며 이것이 깨어나 낙랑공주가 없는 시간은 현실이다. 호동에게 현실의 순간은 두려움과 함께 목적 없는 삶이었기에 더욱 왕비를 통해 낙랑공주를 갈망하지만 이는 극복할 수 없는 현실의 벽이다. 이를 뛰어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인간의 참모습을 찾는 길이다. 그래서 호동은 양심의 가책을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검은 북을 쳐 낙랑공주가 먼저 간 길을 좇으며 인간에게 있어 최고의 가치실현은 사랑의 진실한 구현임을 말한다.

◉「둥둥 낙랑둥」의 공간 구조 분석 및 상징성
「둥둥 낙랑둥」의 공간은 ‘오브제, 시각․청각적 요소의 적극적인 활용, 극중 극 공간 설정’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호동이 주동자가 되는 무대 안의 공간은 ‘호동의 방’(현실+역할극)이라는 공간과
참고문헌
1.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서울:문학과지성, 1979
2. 박정하, 「최인훈 희곡의 공간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 유진월, 「최인훈 희곡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4. 백흥진, 「최인훈 희곡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 향, 「최인훈 희곡 둥둥 낙랑둥 구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검색사이트 yahoo. naver 최인훈 관련자료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