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사설시조

 1  [고전시가] 사설시조-1
 2  [고전시가] 사설시조-2
 3  [고전시가] 사설시조-3
 4  [고전시가] 사설시조-4
 5  [고전시가] 사설시조-5
 6  [고전시가] 사설시조-6
 7  [고전시가] 사설시조-7
 8  [고전시가] 사설시조-8
 9  [고전시가] 사설시조-9
 10  [고전시가] 사설시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사설시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설시조란 무엇인가?

1) 사설시조의 개념과 특징
2) 사설시조의 성격
3) 사설시조의 작시원리

2. 사설시조의 에로티시즘적 성격에 대하여

1) 애욕의 얼굴이 드러난 사설시조
2) 사설시조에서 에로티시즘의 생성기반
3) 사설시조 속 성애와 육담- 왜 여성화자를 내세웠는가?
4) 더러움의 아름다움

3. 사설시조의 현대적 수용

1) 사설시조 자체를 계승
2) 사설시조의 전통을 계승
3) 사설시조의 산문성 측면을 계승

4. 나오는 말- 사설시조에 대한 우리조의 생각

- 사설시조는 성공한 문학인가? 실패한 문학인가

본문내용
3) 사설시조의 작시원리
- 사설시조도 민요․무가․판소리와 마찬가지로 구비적 전승이 주된 방법이었을 것이다. 또한 작품 자체의 길이는 문제 삼지 않는다 하더라도 작품의 수가 판소리나 무가에 비긴다면 엄청나게 많다. 이 같은 관점에서 사설시조가 오랜 세월 지속적으로 전승되어 올 수 있었던 몇 가지 원리를 찾아본다면, 장형의 구비시가인 판소리나 무가의 작시원리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사설시조의 작시원리에는 되풀이, 병렬, 담화체, 공식구. 상호텍스트의 원리가 존재하고, 그 원리들은 다음과 같다.

① 되풀이 - 음성, 어휘, 구절 등의 요소가 되풀이되어 리듬감 형성. 이 운율은 시에서 주의력환기, 암시성의 농축, 감수성의 증대, 시의 제요소결합 및 의미 형성 등의 기능을 한다.
② 병렬 - 기본적으로 반복, 즉 되풀이의 한 형태. 단순한 되풀이가 가져오는 지루함을 덜기 위한 기제가 병렬 양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③ 담화체 - 사설시조는 정형화되는 과정에서 길이를 장형화하는 하나의 기법으로 형태인 담화체 형식이 텍스트를 구성하는 작시원리로 유용하게 선택되어 담화구조를 형성되었고, 사설시조의 담화양식 에서 또 하나의 특별한 현상은 담화양식이 주고받는 대화가 아닌 독백체인 경우가 매우 많다.
④ 공식구 - 사설시조가 후일에 오면서 음악적으로 시조의 영향권 아래에 놓이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주어진 곡에 적절한 詞를 관습적으로 사용하여,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용이하게 전달하고, 나아가 너와 내가 함께 하는 흥겨운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어진 구연상황을 즐길 수 있게 한다.
⑤ 상호텍스트 - 사설시조는 민요, 판소리, 무가와 같은 구비시가 일반 장르들과 활발하게 텍스트의 주요 내용이나 모티브를 주고받는 현상이 나타난다.. 사설시조 텍스트가 구비시가 일반의 작품들과 텍스트를 주고받고 있는 현상은 사설시조가 근원적으로 대다수의 민 중이 포함되는 계층에서 발원하였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2. 사설시조의 에로티시즘 성격에 대하여

1) 애욕의 얼굴이 드러나 사설시조


→ 세속적 삶의 한 국면에서 포착된 독특한 표정과 몸짓이 날카롭게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작품에서의 여인이 고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학적 가치가 떨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소재의 아름다움이나 도덕성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형상화되는 삶의 진
참고문헌
참조논문
-사설시조적 전통의 지속에 관한 연구-산문화 경향을 중심으로
(신은경, 1990, 시조학논총)
-사설시조의 현대적 수용에 대한 연구(송원호, 2002, 어문논집)
-사설시조의 장르론적 연구 성과와 전망(최규수, 1997, 한국시가연구)
-사설시조의 표현미학과 시적 지향(박영주, 1996, 도남학보)
-사설시조와 에로티시즘(박노준, 1998, 한국시가연구)
-사설시조의 속승(俗僧)-애욕(愛慾) 모티프 고찰
(박노준, 2003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태학사)
-사설시조의 애욕과 성적 모티프에 대한 재조명(김흥규-한국시가연구 제13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