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거창가

 1  [고전시가] 거창가-1
 2  [고전시가] 거창가-2
 3  [고전시가] 거창가-3
 4  [고전시가] 거창가-4
 5  [고전시가] 거창가-5
 6  [고전시가] 거창가-6
 7  [고전시가] 거창가-7
 8  [고전시가] 거창가-8
 9  [고전시가] 거창가-9
 10  [고전시가] 거창가-10
 11  [고전시가] 거창가-11
 12  [고전시가] 거창가-12
 13  [고전시가] 거창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거창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거창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거창가란?

2. 거창가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3. 거창가의 전반부 ‘한양가’의 정체는?

4. 거창가의 작가와 그가 비판하고자 했던 대상은?

① 거창가의 작가

② 거창가의 비판 대상

5. 거창가의 창작 배경은?

6. ‘거창가’와 ‘서민의식’ : 민중과 현실 저항

7. 거창가에서 드러나는 해학성과 미의식

① 거창가의 해학성

② 거창가의 미의식 : 비극미

Ⅱ. 토론

1. 규방가사로 분류되는 ‘거창가’의 작자 & 향유층은 과연 부녀자인가? ‘거창가’는 규방가사로 볼 수 있는가?

(1) 작자는 부녀자이며 이 작품은 규방가사이다.

(2) 작자는 부녀자가 아니며, 규방가사라는 분류는 그저 대중성에 기초한 것이다.

2. 작가의 현실 비판과 그 한계점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가 미흡했다는 면에서 그 한계점을 찾아 볼 수 있다.

(2) 사회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는 것만으로도 그 용기를 높이 살 수 있다는 견해

3. 토론에 대한 정리


본문내용
3. 거창가의 전반부 ‘한양가’의 정체는?

※ 일반적으로 거창가의 전반부인 ‘한양가’에 대해서 ‘원 거창가’에는 없던 것이 어떠한 목적에 의해서 가해졌을 것이라고 본다. 여기서는 가미된 ‘한양가’의 목적을 생각해 봄으로써 ‘거창가’의 유통과정과 ‘거창가’가 서민가사로서 널리 유행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① 거창의 현실을 보다 강조하고자 첨가했다! 고순희(1998), [19세기반봉건 가사문학-거창가], 제3집, 국제비교한국학회 p31.

② 거창가 창작 및 수용의 주체들이 자신들의 현실 생활에서 부닥치는 지방관들의 착취와 학정만을 비판하고 바로 잡으려 했을 뿐이지 임금을 정점으로 하던 중세적 통치 질서나 왕조 체제에 대한 반역 혹은 혁명의 의사는 처음부터 없었음을 천명하려 했다! 조규익(2000), 거창가 (월인) p45

③ ‘한양가’는 당대의 유행가였으므로 이것을 가미해서 폭넓은 유통을 꾀하고자 하였다! 육민수(2005). , 어문연구, p131~153.


이 중에서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 되는 ②번과 ③번의 의견에 대해서 ‘더 알아보기(보충자료)’에서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1) 체제에 대한 반역이 아님을 보이기 위해 ‘한양가’를 첨부하였다?

조세저항이나 수령과 아전들의 탐학에 항거하던 민란의 현장에서 거창가류의 저항적인 노래에 한양가와 같은 체제 찬양적인 내용의 노래를 덧붙이는 일은 필수적이었을 것이다. 구조상의 불균형과 의사전달의 비효율성을 감수하면서까지 이 내용을 앞부분에 내놓은 것은 적어도 체제에 대한 반역은 아님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을 거창가의 핵심적인 내용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동학농민반란의 단계에 이르러서도 근본적인 체제에 대한 부정까지는 생각할 수 없었던 점을 이와 비슷한 예로 들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서 이 당시 민중들이 탐관오리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체제 자체의 문제점까지는 인식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2) 폭넓은 유통을 위해 ‘한양가’를 첨부하였다?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낯익은 서술 방식으로 기술되고 있는 거창가 전반부는 창의에 의한 표현이라기보다는 기존에 유행하고 있던 서술 문투를 통해 거창가의 폭 넓은 유통을 도왔다. 거창가가 핍박받는 현실을 핍진하게 서술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산출된 것으로 볼 때, 또한, 거창가의 마지막 부분이 현실 개선에 대한 희망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볼 때, 이것은 자신들이 겪는 고통이 폭 넓은 유통을 통해서 공론화되기를 희망하는 목적으로 ‘한양가’가 첨부되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서태지는 ‘컴백홈’이라는 노래를 청소년에게 익숙한 일종의 댄스음악(‘갱스터’)에 접목하여, 가출 청소년들에게 집에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강력히 전달했다. 이것이 바로 ‘거창가’에 ‘한양가’가 첨부된 3번째 이유에 대한 간접적 계승 아닐까?!

더 알아보기 (보충자료)

후대로 오면서 거창가는 서민의 고통을 표현한 ‘후반부’가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전반부’만이 남는 형태를 띠기도 한다. 이것은 더 이상 거창의 현실이 관심거리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창가’의 향유자가 가치를 부여하고 관심을 갖는 대상이 ‘거창의 현실에 대한 충실한 보고’에서 ‘한양의 풍물과 태평성대 속에서 즐겁게 노니는 쪽’으로 옮겨 갔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더 알아보기(보충자료)’에서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