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

 1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1
 2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2
 3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3
 4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4
 5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5
 6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6
 7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7
 8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8
 9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9
 10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10
 11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11
 12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12
 13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체육학 연구 방법]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2 장 ׀ 연구 계획서 작성

1. 일반 원칙

2 체제

3. 서론의 작성

1) 첫 문장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문제와 가설

4. 이론적 배경의 작성

5. 연구방법의 작성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분석방법

6. 연구 계획서의 평가

1) 전반적 인상

2) 서론

3) 이론적 배경

4) 연구방법

5) 참고문헌

6) 부록

7. 연구 계획서 발표를 위한 준비

실습과제
본문내용


성공한 많은 사람들은 자기 관리를 잘 한다고 한다. 농구황제 마이클조던과 골프황제 타이거우즈, 그리고 박세리 등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세계적인 선수들은 하나같이 자기관리를 잘 한다고 정평이 나있다.
체력과 기술, 정신력 등 스타로서 손색없는 철저한 자기관리는 그들이 우연의 인물이 아님을 입증하고 있다.

그림 2-4. 서론 첫 문장 시작의 예(허정훈, 2001)

2) 연구의 목적
석박사 학위논문의 경우 연구의 필요성 별도의 하위 항목으로 작성된다. 연구의 필요성은 왜 이 연구를 해야 하는가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작성해야 한다. 특히 학위논문 계획서의 경우 연구의 필요성이 쉽게 이해되도록 해야 한다. 선행연구가 논리적으로 정리되지 않거나 장황하게 다루어져도 그 필요성을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연구의 필요성에는 이 연구의 개념적, 이론적 틀이 무엇인가를 밝혀준다. 즉 이 연구의 배경에 어떤 이론이 있는지를 분명하게 설명한다. 이론적 틀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것은 연구 계획서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한 이후에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점이나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제시한다. 즉 선행연구 관한 논의와 문제점을 지적한 후에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불안이론은 ...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는 “이러한 변인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와 같은 식으로 적는다. 그 다음 연구자가 제시하는 연구 지적한 대해서 설명한다. 연구목적을 설명하는 좋은 방법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 으로 문장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연구하는 구체적인 가설이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어떤 방법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할 것인가를 설명한다.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는 문장에는 이 연구의 전체적인 목적이 무엇인가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연구자 본인이 연구의 목적을 명확하게 진술하지 못한다면 독자들 또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연구의 목적을 진술할 때에는 어떤 구체적인 연구문제나 가설을 설정했는가도 설명한다. 또 연구의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구체적인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목적은 ...” 으로 연구의 목적을 진술하기 시작한다.
2) 연구의 핵심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3) 어떤 연구방법으로 연구 목적을 달성하는지 밝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구 문화권에서 개발된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SDQ; Marsh et al., 1994)를 우리 문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척도의 번역도입 절차를 적용하여 PSDQ의 한국판 척도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