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

 1  [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1
 2  [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2
 3  [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3
 4  [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송강 「훈민가」의 말하기 방식과 효 윤리의 보편적 형상화
2.1. 훈민형 시조의 관습시적 토대와 맥락
2.2. 결속형 시조와의 특징 비교

3. 김대비「훈민가」의 말하기 방식과 효 윤리의 여성적 형상화
3.1. 훈민형 가사의 관습시적 토대와 맥락
3.2. 결속형 가사와의 특징비교
3.3. 김대비의 「훈민가」에 나타난 효 윤리의 형상화

4. 훈민형 시가에서 효 윤리의 지향성이 갖는 의미

5. 나오며
본문내용
4. 훈민형 시가에서 효 윤리의 지향성이 갖는 의미

앞서 훈민형 시가에 나타난 효 윤리의 형상화와 말하기 방식의 특징을 송강의「훈민가」와 김대비의 「훈민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각기 앞선 시기의 작품들과 관습시적 토대를 공유하면서 새롭게 효 윤리를 이야기하는 개성적 측면이 발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 훈민형 시가에서 효 윤리의 지향성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정리를 시도하기로 한다.
우선, 효 윤리의 보편적 가치 지향에 대한 경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시대적 특수성을 극복할 여지가 클 때 작품의 생명력이 커질 수 있음을 환기시키는 부분이 되기도 하는데, 그 성공적인 사례로 송강의 「훈민가」가 18세기적 배경에서 다시 보급되게 되는 상황을 검토할 수 있다.
한익모의 계문을 주목하면,18세기에 이르러 서민들 사이에 풍미한 「산유화가」와 경쟁할 만한 작품으로 송강의「훈민가」가 다시금 거론되게 되었음이 왁인된다. 한익모 조차도 “속된 이곡(裡曲)이 아무런 의미도 없이 사람의 심지(心志)만 음탕하게 한다”고 비판한 것처럼 18세기 「산유화가」의 유행에서 크게 주목되는 바는 효 윤리의 부재 혹은 상실에서 빚어지는 사회 혼란의 상황인데,이러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바는 다름 아닌 오륜 윤리의 재확인이자 효과적인 훈계 방식일 것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방편으로 송강의 「훈민가」가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는 것은 작품에 설정된 효 윤리의 보편적 형상화와 말하기 방식이 수용층의 호소력을 얻기에 적절하였음을 웅변해 주는 것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