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

 1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1
 2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2
 3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3
 4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미가 담긴 목적 문학〈훈민가〉
1. 내용요약 및 부연설명
아바님 날 나시고 어마님 날 기시니 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바티리라.
두 분 곳 아니시면 이 몸이 사라실가 나갈 디 겨시거든 막대 들고 조리라
하 업 은덕을 어ㅣ 다혀 갑오리. 향음쥬 다 파 후에 뫼셔 가려 노라.
님금과 셩과 이 하과 로 으로 삼긴 듕의 벗티 유신랴.
내의 셜운 이 다 아로려 시거든 내의 왼 이 다 닐오려 노매라.
우린 진 미나리 혼자 엇디 머그리. 이 몸이 벗님곳 아니면 사되미 쉬올가.
형아 아야 네 만져 보아. 어와 뎌 족해야 밥 업시 엇디꼬
뉘손 타 나관 양조차 다. 어와 뎌 아자바 옷 업시 엇디꼬
졋 먹고 길너나 이셔 닷 을 먹디 마라. 머흔 일 다 닐러 라 돌보고져 노라.
어버이 사라신 제 셤길 일란 다여라. 네 집 상사흔 어도록 호다
디나간 휘면 애다 엇디리. 네 셔방은 언제나 마치다
平生(평생)애 곳텨 못 일이 잇인가 노라. 내게도 업다커니와 돌보고져 노라.
몸 둘헤 화 夫婦(부부) 삼기실샤 오도 다 새거다 호믜 메고 가쟈라.
이신 제 늙고 주그면 간다. 내 논 다 미여든 네 논 졈 미여 주마.
어셔 망녕의 시 눈 흘긔려 고. 올 길헤 뽕 따다가 누에 머겨 보쟈라.
간나 가 길흘 나 에도시 비록 못 니버도 미 오 앗디 마라
나 네 길흘 계집이 츼도시 비록 못 머거도 미 밥을 비디 마라
제 남진 제 계집 아니어든 일흠 뭇디 마오려. 적곳 띠 시 휘면 고텨 씻기 어려우리.
네 아 孝經(효경) 닑더니 어도록 홧니 쌍육자기 지라마. 송사글월지마라.
내 아들 小學(소학)은 모면 로다. 집 비야 무하며 남의 원수 될 줄 엇디
어제 이 두 글 화 어딜거든 보려뇨. 나라히 법을 세오샤 죄 잇 줄 모로다.
사들아 올 일 쟈스라. 이고 진 뎌 늘근이 짐 프러 나 주오
사이 되어나셔 올치옷 못면 나 졈엇꺼니 돌히라 므거울가.
마쇼 갓곳갈 워 밥머기나 다르랴. 늘거도 설웨라커든 지믈 조차 지실가.
〈훈민가〉는 송강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게 되면서 그 곳의 이상적 치민을 이루기 위해 송대 인물인 진양의 〈선거권유문〉 송나라 때 진고령이 백성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조목별로 쓴 것으로 총 13조목으로 되어있다.
의 틀을 바탕으로 창작한 것이다. 의 13조목에다가 군신, 장유, 붕우의 3조목을 추가하여(총 16수의 연시조) 각각 한 수씩 읊은 것으로 유교의 윤리를 주제로 한 교훈가이다.
훈민가의 차례는 ‘부의모자(父義母慈)’, ‘형우제공(兄友弟恭)’, ‘군신(君臣)’, ‘자효(子孝)’, ‘부부유은(夫婦有恩)’, ‘남녀유별(男女有別)’, ‘자제유학(子弟有學)’, ‘향여유례(鄕閭有禮)’,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빈궁우환(貧窮憂患)’, ‘친척상구(親戚相救)’, ‘혼인사상 인리상조(婚姻死喪 隣里相助)’, ‘무타농상(無惰農桑)’, ‘무작도적(無作盜賊)’, ‘무학도박(無學賭博)’, ‘무호쟁송(無好爭訟)’, ‘행자양로(行者讓路)’, ‘경자양반(耕者讓畔)’, ‘반백자불부대(班白者不負戴)’로 되어 있으며, 이는 강원도 백성들의 교화를 목적으로 지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훈민가〉의 특성으로는, 윤리를 도덕의 실천 궁행을 목적으로한 목적문학이라는 것이고, 강원도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한 계몽적이며 교훈적인 성격의 노래라는 것이다. 또한 문학적인 운치나 창의성은 적지만, 평이한 말 속에 인정의 기미를 곁들여 감동을 일으키고 있다는데에 있다. 그리고 고유어를 사용하여 백성들의 이해와 접근이 용이하도록 만들어 놓았고, 청유어법을 활용하여 설득하는 힘이 강한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훈민가〉의 표현상 특징으로는 앞에서 언급하였던 쉽고 정감 어린 어휘로 백성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동을 준다는 것과, 순우리말을 사용하여 백성들의 이해가 쉽도록 배려하였다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