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

 1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
 2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2
 3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3
 4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4
 5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5
 6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6
 7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7
 8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8
 9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9
 10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0
 11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1
 12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2
 13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3
 14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4
 15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살모넬라균 식중독]살모넬라균의 개념, 살모넬라균의 군종과 아종,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원인식품,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임상증상,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진단과 치료,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예방대책 분석
  • [질환][성인성질환]질환(질병)과 심장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질환(질병)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질환(질병)과 성인성질환, 질환(질병)과 생식기질환, 질환(질병)과 순환계질환, 질환(질병)과 근골격계질환 분석
  • [전염성질환관리] 전염성 질환의 종류와 특징 및 예방접종의 필요성, 전염성질환의 증상과 예방(소화기계 전염병, 호흡기계 전염병, 절지동물매개전염병, 동물매개전염병)
  •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출혈성대장균과 콜레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와 장염비브리오, 수인성식품매개질환 황색포도상구균, 가스괴저균, 보툴리누스, 식품매개질환 클로스트리디움균, E형간염, 리스테리아균
  • 감염성질환, 감염성질환개념, 감염성질환발생과정, 감염성질환발생현황, 병원체, 병원소, 병원체전파방법, 법정전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 [식품위생학] 제 5 장 식품과 전염병
  • 간호학 감염성질환의 개념 및 발생과정과 우리나라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성 질환
  • [학교전염병][학교전염병 개념][학교전염병 종류][학교전염병 예방접종][예방법]학교전염병의 개념, 학교전염병의 종류, 학교전염병의 예방접종, 학교전염병의 예방법, 향후 학교전염병의 관리방향, 시사점 분석
  • 국가고시 ,보건직 공무원 공중보건학 요약정리본
  • [의료보건]전염병,성병의 정의와 종류 및 특성
  • 소개글
    [수인성 식품매개질환]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와 장티푸스,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와 황색포도상구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웰치균, 보툴리누스균,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A형간염, 캠필로박터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
    1. 서론
    2. 역학
    3. 임상양상
    1) 병원체
    2) 전파양식
    3) 증상 및 징후, 합병증
    4. 진단
    5. 치료
    6. 환자 및 접촉자 관리
    7. 예방

    Ⅱ.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티푸스
    1. 개념
    2. 감염 및 전파경로
    3. 증상
    4. 진단 및 치료
    5. 관리 및 예방

    Ⅲ.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파라티푸스
    1. 개념
    2. 감염 및 전파경로
    3. 증상
    4. 진단 및 치료
    5. 관리 및 예방

    Ⅳ.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황색포도상구균
    1. 서론
    2. 역학
    3. 임상양상
    1) 병원체
    2) 전파양식
    3) 증상 및 징후, 합병증
    4. 진단
    5. 치료
    6. 예방

    Ⅴ.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
    1. 성상
    2. 증상 및 발생
    3. 예방

    Ⅵ.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웰치균
    1. 개념
    2. 원인세균
    3. 균의 성상
    4. 원인 식품
    5. 감염원 및 감염경로
    6. 식중독 증상
    7. 예방 및 대책

    Ⅶ.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
    1. 보툴리누스의 분포와 성질
    2. 보툴리누스의 오염 경로
    3. 보툴리누스 식중독의 원인 식품 및 증상
    4. 보툴리누스 식중독의 예방

    Ⅷ.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염비브리오균
    1. 장염비브리오균이란
    2. 감염 및 전파경로
    3. 임상증상
    4. 진단 및 치료
    5. 관리 및 예방

    Ⅸ.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A형간염

    Ⅹ.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캠필로박터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콜레라

    1. 서론

    콜레라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 감염에 의한 급성 설사질환으로 19세기에는 인도 기원의 전 세계적 대유행이 반복하여 발생하였다. 역사상 7번의 대유행이 기록되어 있고 1961년부터 제7차 대유행이 시작되어 El Tor type이 인도네시아에서 전 세계로 전파되었다. 콜레라는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의 후진국, 개발도상국, 분쟁지역 등 위생여건이 불량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2. 역학

    전세계적으로 56개 국가에서 총 137,071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4,908명이 사망(치사율 3.6%)하였다. 국내에서는 1980년(145명), 1991년(113명), 1995년(68명)에 El Tor type의 유행이 있었으며, 경상북도 영천지역의 한 식당을 중심으로 유행이 발생한 바 있다.

    3. 임상양상

    1) 병원체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은 쉼표모양(curved shape)의 그람음성간균으로 크기는 1-3㎛ x 0.5-0.8 ㎛, 1개의 편모를 보유하여 운동성이 있다. 항원성을 나타내는 것은 편모항원(Flagellar H antigen)과 체세포항원(Somatic O antigen)이며 O1 및 O139형만이 콜레라를 유발한다. 혈청형 O1에는 Classical type과 El Tor type이 있는데 Classical type에 의한 감염은 현성감염과 불현성감염의 비율이 거의 같으나, El Tor type은 불현성 감염과 현성 감염의 비율이 20-100:1 정도이다

    2) 전파양식

    병원소는 사람과 수중의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주로 분변이나 구토물로 오염된 음식물(어패류 등)이나 물을 매개로 전파되나 드물게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의 대변이나 구토물과 직
    참고문헌
    ◇ 강병우 외 10인(2000), 공중보건학, 현문사
    ◇ 강승호(2003), 장염비브리오의 위해도 평가, 식품의약안전청연구보고서 제7권
    ◇ 김상숙 외 2인, 최근 한국에서 유행하는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 역학적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8권
    ◇ 조정순 외(2004), 식품위생학, 보문각
    ◇ 정의영·전종휘(1987), 감염질환, 수문사
    ◇ 정희곤(1999), 식품위생학, 세진사
    ◇ Karlen, Arno(2001), 전염병의 문화사, 사이언스 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