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

 1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1
 2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2
 3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3
 4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4
 5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5
 6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6
 7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7
 8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8
 9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9
 10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10
 11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11
 12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12
 13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사회중심재활(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CBR)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시설복지서비스와 재가복지서비스

① 시설복지서비스

② 재가복지서비스

(2)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정의

(3)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기본 원칙 및 특성

① 세계보건기구(WHO), 1976

② ILO · UNESCO · WHO 협력, 2004

2. 본론

(1)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도입 배경

(2)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전개

(3)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서비스영역 및 서비스제공자

(4)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대상자

(5) 지역사회중심재활(CBR) 기관의 기능과 역할

(6)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현황

①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재활(CBR)

② 외국의 지역사회중심재활(CBR)

3. 결론

(1)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과제

(2) 지역사회중심재활 사업의 확대를 위한 개선방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시설의 증축은 장애인을 수용(2~3%에 불과)하는 데 한계를 보임 ② 전문가 중심의 시설수용 서비스의 비효율성 ③ 장기적시설수용은 재활의 궁극적 목표인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역행, 사회적 격리 초래


시설수용시대
탈시설수용시대
지역사회시민권시대
대상
• 환자
• 대상자
• 시민
전형적인 셋팅
• 시설
• 그룹홈, 작업자, 특수 학교, 특수학급
• 가정, 지역경제, 일반 학교
서비스의 조직
• 편의에 따라
• 연속적인 선택지
• 개인에 따라 맞추어 진 특별한 지원체계
모델
• 보호감호/의료적모델
• 발달적/행동주의적
• 개별화된 지원모델
제공되는 서비스
• 보살핌
• 프로그램
• 지원
통제권
• 전문가(의사)
• 학문협동적 팀
• 개인
가장 우선
• 기본적인 욕구
• 기술습득, 행동조절
• 자기결정과 관계
서비스의 목적
• 통제 혹은 치료
• 행동을 변화
• 환경과 태도 변화
(Bradley, 1994, adapted from Knoll, 1992)
(2)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전개

(3)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서비스영역 및 서비스제공자


(4) 지역사회중심재활(CBR)의 대상자
: 지역사회 주민 전체(재가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등)

(5) 지역사회중심재활(CBR) 기관의 기능과 역할

① 보건소
- 중증장애인 의료계획수립, 평가
- 장애예방교육 및 활동
- 장애인 조기발견 및 조치, 의뢰
- 재활치료 및 후속조치
- 방문보건간호 인력양성 및 배치
- 지역의료기관 인적, 물적 자원개발․연계․지원조직망 구축
- 지역사회의료재활센터 운영
- 지역사회중심재활협의체 활동 참가

② 장애인복지관
- 지역장애인 실태 및 욕구 사정
- 장애진단, 평가, 재활계획수립
- 지역장애인 사례관리서비스 제공
- 지역자치활동조직 육성 및 교육
- 자조그룹 활동 지원
- 지역사회중심재활요원 양성 및 배치
- 지역복지기관 자원개발․연계․지원조직망 구축
- 지역사회중심재활센터 운영
참고문헌
* 박상하 외 9명,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1판, 2007, pp.236~239
* 표갑수, 「지역사회복지론」, (주)나남, 2003
* 최일섭 외 1명,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제6개정판, 1999
* 손홍숙, 「재가복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2
* 한국사회복지관협회,「우리나라 재가복지의 현황과 과제」, 1995
* SARPV (Social assistance and Rehabilitation for the Physically Vulnerable) Post
July 28th, 2009
* 김은영 외 6명,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중심 사례 관리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 15, No. 1. 2004
* 보건복지부,「재가장애인의 보건을 책임지는 거점보건소 확충, 지역사회중심 재활서비스 활성화」 ,2006
* 보건복지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운영」, 2005
* 보건복지부,「장애인복지사업 안내」2006년 , 2006
* 박헌열,「C.B.R(지역사회중심 재활) 사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사회복지」, 1992
* 이달엽,「재활과학론」, 1998
*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CBR) 평가에 관한 연구」, 2003
*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타)일부개정 2009.7.1 보건복지가족부령 제123호], [별표 4]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제41조 관련)
* 함께가는 여성 2009.7-8 192호, 한국여성민우회
Healthlink worldwide
Adventist Development And Relife Agency
보건복지부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천시보건소
부산진구보건소
수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
수원중증장애인 독립생활센터





















* http://www.healthlink.org.uk
* http://www.adra.org
* http://www.mohw.go.kr
*http://www.scil.or.kr
* http://www.gchealth.go.kr
* http://health.busanjin.go.kr
* http://www.suwonrehab.or.kr
* http://www.kgil.net
* http://www.who.int 세계보건기구
* http://www.nrc.go.kr 국립재활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