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

 1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1
 2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2
 3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3
 4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4
 5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5
 6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6
 7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7
 8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8
 9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9
 10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10
 11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북분단과한국전쟁] 중공군의 개입과 국제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50.10~1951.5 사이의 전쟁 양상

1.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탈환

2. 중국의 참전

3. 1·2차 전투 - 중국군의 신중한 공격

4. 3차 전투 - 중공군의 총공세와 1·4후퇴

5. 4차 전투 - 유엔군의 재공세

Ⅱ. 중국군의 한국전쟁 개입근거

1. 들어가며

2. 외재적 요인

3. 내재적 요인

Ⅲ. 중미 전쟁에서의 기타 쟁점

1. 중국의 전략적 전술 - 인해전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2. 핵무기를 왜 사용하지 못했을까?

Ⅳ. 결 :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이후 전쟁양상 변화와 그 평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3. 1·2차 전투 - 중국군의 신중한 공격
10월 25일~11월 4일 중국군과 한국군의 본격적인 1차 전투
중국군은 한국군을 덕천·개천·안주 까지 밀어내는데 성공
11월 8일 미군의 반격. 패전
- 중국군은 미군을 유인해 동서에서 공격하는 전략으로 자만해 있던 미국군에 큰 타격을 입히게 된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살아남아 산속에 숨어있던 조선인민군 부대가 곳곳에서 속출하여 미국군에 타격을 입힌다.
11월 25·26일 중국군은 그동안 소극적인 방어위주 전략에서 적극적인 공세로 전환 - 2차 전투
11월 27일~12월 11일 장진호 전투
- 당시 중국군 12만 명과 유엔군 2만 명이 맞서 싸워 중국군이 ‘인해전술’을 펼친 대표적인 사례이다.
- 당시 미군들은 “중국군들이 끊임없이 밀려왔으며 중국군의 시체로 진지를 구축했다”고 증언했고 “인해전술”이라는 말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여기에 박태균 교수는 당시 중국군은 낮에는 유격전을 통해 적들에게 피로와 불안감을 조성하고 밤에는 꽹과리, 징 등을 두드려 적들을 혼란에 빠지게 했었고 주로 밤에 산을 타고 진군하다 급습하는 게릴라전술을 주로 썼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투에서는 "인해전술은 없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 또한 인해전술이 단순히 수로 밀어붙이는 전술이 아니다. 주간 산악기동, 은일 포위망 형성, 야간 대규모 공세로 집약되는 고도의 게릴라전의 기술로 이는 충분한 실전경험을 지닌 정예로만이 가능한 정규전에서의 게릴라전술이다. 이는 당시의 중국군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었다.

12월 6일 중국군 평양 회복, 미군 계속해서 퇴각
12월 7일 펑떠화이는 김일성과 중국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의 연합사령부를 조직하기로 하여 최고사령관이 됨
12월 8일 펑떠화이는 38도선까지 한미군을 격퇴한 이후 추격하지 않는 안전한 방침을 하려고 함. 마오쩌뚱도 이에 동의
참고문헌
박두복 편저, , 백산서당, 2001년 6월 30일
와다하루끼 저, , (주)창작과비평사, 1999년 9월 10일
제임스 매트레이·김철범 ,평민사
신호상 저, , 아세아 문화사
김행복 저, , 병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