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예술의이해]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1  [영상예술의이해]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1
 2  [영상예술의이해]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2
 3  [영상예술의이해]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예술의이해]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예술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1. 예술 개념의 역사

2. 순수 예술(fine art)과 대중 문화(mass culture)의 대분할(great divide)

1) 영화의 탄생: 상업적 여가 문화로서의 영화

2) 대중 사회와 대중 문화의 출현

2-1) ‘대중’ 사회의 출현

2-2) ‘대중’ 매체와 ‘대중 문화’의 출현

본문내용
3) 근대적 예술 개념
3-1) 근대적 Fine Arts System의 성립:
근대의 새로운 시대정신(―인간의 합리적 정신과 그것의 소산인 자연과학 및 기술문명에 의한)은 중세의 신학적인 세계관(=목적론적 세계관)을 무너뜨리고 자연과학적인 세계관(=기계적 세계관)을 확립하게 된다. 그 결과, 세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더 이상 신비롭고 불가측한 힘에 의존하지 않게 되며, 종교 및 형이상학 영역에서 드러난 실제적․현실적인 이성이 과학․도덕과 법․예술의 자율적인 세 가치영역으로 분화되게 된다. 그리하여 18C 중엽에 이르러 Fine Arts(아름다운 기예들, 즉 美術) 체계가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Fine Arts System의 성립이 가지는 의미는 ⅰ)이전까지와는 달리 이제 예술은 공예가 아니며, 또한 과학도 아니라는 점, ⅱ)그 이전의 예술이 일상 생활의 맥락 속에서 담당했던 사회적 기능을 더 이상 갖지 않고, 예술은 그 자체로서 가치(미적 가치) 있는 활동으로 인정받게 된다는 점이다.
3-2) 예술의 독자성 혹은 자율성에 대한 의식적 추구:
증가하는 과학의 역할과 그에 따른 기술 및 산업화의 팽창은 예술의 역할과 지위를 상대적으로 크게 축소시키게 된다.(―그 일부로서의, ‘사진’이라는 새로운 기술적 수단의 출현이 미친 영향) 부연하자면, 기계화된 산업과 공장체제의 발달은 생산과 효용에 대한 태도에서의 변화를 초래했으며, 경제적 부에 기반을 둔 사회계급인 부르주아의 출현은 도덕과 미적 취미에 새로운 결정요인들을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 즉 자본주의적 부르주아 사회 속에서 예술가는 소외되고, 그리하여 예술가는 사회에 대한 상반감과 갈등의식을 느끼게 됨으로써, 예술의 독자성 혹은 자율성을 의식적으로 추구하게 된다. 즉 예술이란 그 자체의 존재를 넘어선 어떠한 목적도 지니지 않기 때문에 자기 충족적이며 예술의 목적은 아름답게 되는 것, 즉 형식적으로 완전한 존재가 되는 것이라는 미적 예술 개념에 근거해서 예술가는 창작행위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