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백제고분

 1  [고대사] 백제고분-1
 2  [고대사] 백제고분-2
 3  [고대사] 백제고분-3
 4  [고대사] 백제고분-4
 5  [고대사] 백제고분-5
 6  [고대사] 백제고분-6
 7  [고대사] 백제고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대사] 백제고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한성시대의 백제고분
(1) 토광묘
(2) 목관봉토분
(3) 기단식적석총

3. 웅진시대의 백제고분
(1) 송산리 방단계단형무덤
(2) 횡혈식 석실분
(3) 전축분 - 무령왕릉

4. 사비시대의 백제고분
① 동하총 = 능산리 1호분
② 중상총 = 능산리 5호분

4. 백제 중심지 이외의 고분

5. 결어
본문내용
백제고분 - 고대사연구회

1. 서언

한국의 역사 연구는 문헌사료가 부족하여 역사상을 복원하는데 있어 당시대인들이 남긴 문화 유산인 고고자료에 많이 의지한다. 주지하다시피 고대로 올라갈수록 문헌사료, 나아가 고고자료는 더욱 부족하여서 역사 연구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백제는 삼국 중 사료가 가장 부족하고 고고자료 또한 넉넉지 못한 것도 아는 바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백제의 문화 중 고분에 관한 부분을 다룰 것이다.
고분은 우리말로 옛 무덤을 의미한다. 한 마디로 무덤이라고 하지만 그 안에는 그 사회의 문화 양상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여러 가지 문화 요소들이 수반되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분에 대한 연구는 역사상을 복원해 보고자 하는 역사학 연구에서 필수적이고 소중한 작업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간략하게나마 백제의 고분에 대해서 개관하여 보고자 한다. 백제사는 수도를 삼은 지역에 따라 크게 한성시대(풍납 몽촌토성)-웅진시대(공주)-사비시대(부여)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다루고자하는 백제고분에 관한 양상 또한 그와 같은 백제사의 양상과 일치한다. 이 글에서는 역시 그 전개방식을 따르기로 한다.
백제초기의 고분에 관한 연구는 마한지역 내에서의 백제고분의 특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 백제가 고대국가로 성장해 나가면서 외래계 고분문화의 요소를 수용하게 되는데 역시 주변지역의 고분문화와의 관계를 고찰하여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원룡, 1986,《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김원룡, 1974, 《한국의 고분 -국사교양총서 02-》세종대왕기념사업회,
임영진, 1993 〈한성초기 한성시대 고분에 관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고고학사전》.
공주대학교 박물관, 1995, 《공주지역백제고분자료》.
최병현, 1994, 〈묘제를 통해서 본 4~5세기 한국고대사회 -한강이남지역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논총》6, 한국고대사 연구소 p 5~44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