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

 1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1
 2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2
 3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3
 4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4
 5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5
 6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6
 7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사] 일본 천황제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천황제의 근대적 특수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고대 천황제

나) 막부시대의 천황제

다) 근대 천황제 - 만들어진 신화

라) 상징천황제 - 신에서 인간으로

마) 변화하는 천황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근대 천황제 - 만들어진 신화
메이지 유신 이후 약 70년간은 천황제의 황금기라고도 할 수 있다. 1868년 15세의 메이지 천황이 에도성에 입성하고 ‘왕정복고’를 선언함으로서 조정-막부의 체제가 끝나고 천황 친정체제가 성립되었다. 메이지 유신과 함께 만들어진 헌법을 통해 천황제는 입헌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실로 천황 및 황실은 법률의 한계 밖에 있었다. 천황제 하에서는 헌법 외에 황실전범이라는 황실의 각종 제도에 관한 기본법이 있는데 이는 헌법과 동등한 수준의 법규로 규정되었다. 황실전범 증보 제 8조에는 ‘법률,명령 중 황족에 적용하도록 되어있는 규정은 이 전범이나 이를 근거로 발(發)라는 규칙에 별개의 규정이 없을 때에 한하여 이를 적용한다’고 하여 황실전범이 법률의 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황실전범 증보【1918(다이쇼 7)년 11월 28일】)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천황제가 갑작스럽게 강화되었던 것은 페리에 의한 외부적 자극에 대응하는 국민통합의 이데올로기와 새롭게 등장한 지배세력이 자신들의 집권을 정당화할 수 있는 논리로서 ‘천황’이 매우 유효한 기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메이지 정부는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확립을 위하여 헌법, 교육칙어, 군인칙유와 같은 법적, 도덕적 규범을 강조하였고, 동시에 국민이 자발적으로 천황을 숭배하고 따르게 하기 위하여 국가와 민족의 유구하고 신성한 역사의 체현자로서 천황을 신격화하였다. 이로부터 ‘만세일계’라는 신념이 일본인의 머릿속에 자리하게 된 것이다.
혹자는 일본을 이에(家)의 사회 가문의 승계와 유지에 초점을 두는 일본의 독특한 사회구조. 자식들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전 재산을 물려주고 가문을 잇게 함으로써 가문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러한 사회구조 속에서 철처하게 수직적이고 가부장적 인간관계가 형성되었다.
라고도 하는데 천황제는 이 이에를 가장 잘 구현한 제도이자, 이에를 통해 존재의 기반이 마련된 제도이기도 하다는 설명도 있다. 철저한 상하관계와 복종이 강조되어 온 사회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은 최고의 가문인 황실의 존재를 받아들이고 숭배하기 쉬웠을 것이다. 스즈키 마사유키, 근대 일본의 천황제, 류교열 역, 이산, 1998, 69~72쪽,

이러한 배경하에서 천황제는 절대주의적 면모를 띠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으로 일본은 근대적 사고를 받아들이고 서양문물을 접했지만 정치제도는 옛 왕조시기의 전제적 제도로 돌아간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복종은 최종적으로 천황에게서 근거를 찾는다.” 나루사와 아키라, 일본적 사회질서의 기원(한림신서 일본학총서 78), 박경수 역, 도서출판 소화, 2004, 121쪽
천황제는 일본이 군국주의의 길을 걸으면서 민중에 대한 강력한 통제와 동원수단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약 70여년간의 강력한 천황제는 2차대전의 종결과 함께 막을 내렸다.

라) 상징천황제 - 신에서 인간으로
패전 후인 1946년 1월 1일 쇼와(昭和)천황 히로히토는 『신일본 건설에 관한 조서』를 통해 ‘인간선언’을 하였다. ‘인간선언’이란 천황 스스로가 천황의 신격(神格)을 부정한 것을 말한다. 이 조서에서 천황은 “나와 국민사이의 유대는 항상 상호 신뢰와 경외에 의해 맺어지는 것이지 단지 신화나 전설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천황은 현어신(現御神)이고, 일본 국민은 다른 민족보다 우월한 민족이어서 세계를 지배할 운명이라는 가공의 관념에 기초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언명하였다. 무라카미 시게요시, 천황과 천황제, 장진한 오상현 역, 도서출판 한원, 1989, 240쪽

참고문헌

일본역사사전 권4


서현섭, 일본인과 천황, 고려원, 1997
한영혜, 일본사회개설, 도서출판 한울, 2001
구태훈, 일본역사 탐구, 태학사, 2002
도널드 킨, 메이지 천황 상/하, 김유동 역, 2002


민두기 편저, 일본의 역사, 지식산업사, 1976
高橋幸八郞 永原慶二 大石嘉一郞 편, 일본근대사론, 차태석 김이진 역, 지식산업사 1981
피터 두우스, 일본 근대사, 김용덕 역, 지식산업사, 1983
遠山茂樹 今井淸一 蕂原彰 저, 일본현대사(한울총서 70), 박영주 역, 도서출판 한울, 1988
무라카미 시게요시, 천황과 천황제, 장진한 오상현 역, 도서출판 한원, 1989
후지와라 아키라, 아라카와 쇼지, 하야시 히로후미 지음, 일본 현대사, 노길호 옮김, 도서출판 구월, 1993
스즈키 마사유키, 근대 일본의 천황제, 류교열 역, 이산, 1998
나루사와 아키라, 일본적 사회질서의 기원(한림신서 일본학총서 78), 박경수 역, 도서출판 소화, 2004


도가와 이사무, 사진으로 보는 일본 현대사 1/2, 박상국 역, 역사의식, 1990
레너드 모즐리, 일본천황 히로히토, 팽원순 역, 1994
도널드 킨, 메이지 천황 상/하, 김유동 역, 2002


한국일보
MBC 뉴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