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

 1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
 2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2
 3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3
 4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4
 5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5
 6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6
 7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7
 8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8
 9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9
 10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0
 11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1
 12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2
 13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3
 14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4
 15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5
 16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6
 17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7
 18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8
 19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19
 20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술] 제1세대 페미니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페미니즘의 정의
1-1. 페미니즘
1- 2. 페미니즘 미술

2. 페미니즘 미술의 역사
2-1. 페미니즘 미술의 대두
2-2. 제 1세대 페미니즘의 발단
2-3. 제 1세대 페미니즘 미술 비평

3. 제 1세대 페미니스트들

4. 제 1세대와 제 2세대 페미니즘의 비교

5. 제 1세대 미술 비평의 의의와 한계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페미니즘 미술의 역사
2-1. 페미니즘 미술의 대두
미술에서의 페미니즘은 사회 전반적인 여권신장 운동의 여파와 함께 1960년대 말 서구의 각종 반항문화와 함께 문화적 다원주의를 표방하는 하나의 양상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페미니즘 미술은 남녀는 남과 북, 양과 음과 같이 다름 속에 평등을 이루는 대칭관계이어야 한다는 성 인식과 함께 자율적 여성성을 표방하였고 미술사에서 본격적인 페미니즘 연구는 (1971년)라는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의 논고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논고는 예술적 성취가 작가 개개인의 천재적 역량보다는 사회문화적 상황 또는 제도적 요인으로 이루어진다는 사회사적 견지에서 여성 미술의 부재 현상을 여성에게 불평등하게 주어진 예술 외적인 여건과 결부시켜 남성본위, 천재중심, 형식위주의 서양미술사에 대해 최초로 공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글은 성차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미술에서의 여성문제가 대두되게 하였으며 여성의 창작활동을 촉진하게 하는 새로운 풍토를 마련하였다.
노클린은 인류 역사에서 현대사에서 멀어져 갈수록 위대한 남성은 많아도 위대한 여성은 별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미술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지만, 이런 수적인 열세가 여성의 생리적인 열등이나 창조라는 위대한 작업에 여성이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은 그릇된 편견으로서 그 진정한 이유는 여성의 교육, 사회제도, 관습에서 기인한 것임을 지적한다. 예술적 성취란 초 사회적인 기적적인 행위가 아니며, 그 어떤 위대한 미술가도 사회 관습의
제도와 규범 위에 군림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지금껏 위대한 여성미술가가 없었던 것은
여성의 재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사회제도와 관습의 장벽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기존의 서양 미술사는 예술 생산의 경제 사회적 요인을 간과하고 양식만을 문제 삼은 형식주의 미술사인 동시에 위대한 예술이라는 개념을 설정한 배타적 천재 중심의 미술사이고, 미술에서 여성적 전형을 수립하고 차별화함으로써 여성 화가들을 대거 탈락시킨 남성 중심의 미술사였다. 수정주의 미술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재래 미술사가 탈락시킨 여성 미술 사가를 발굴하고 여성예술의 업적을 과시하는 데에 있었다. 이와 같은 시도는 또 하나의 여성 천재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사를 구축, 자칫하면 여성 중심의 분리주의를 범하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김형숙, 『시각 문화 교육 방법과 실천』, 시공사, 2004년.
김홍희,『여성과 미술』, 눈빛, 2003년.
노르마 브루드, 메어리 D 개러드, 호 승희 ,『미술과 페미니즘』, 동문사, 1994년.
린다 노클린,『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들이 존재하지 않았는가?』, 1971년.
린다 노클린,『Women, Art, and Power 페미니즘 미술사』, 오진경, 예경, 1997년.
메리 앤 스타니제프스키, 박이소,『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현실문화연구, 2006년.
주디 시카고, 에드워드 루시-스미스,『여성과 미술;열가지 코드로 보는 미술 속 여성』, 아트북스, 1999년.
T. 구마 피터슨, P.매튜스, 이수경, 『페미니즘 미술의 이해』, 시각과 언어, 1994년.
휘트니 채드윅, 김이순, 『여성,미술,사회』, 시공아트,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