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처용가

 1  [고려가요] 처용가-1
 2  [고려가요] 처용가-2
 3  [고려가요] 처용가-3
 4  [고려가요] 처용가-4
 5  [고려가요] 처용가-5
 6  [고려가요] 처용가-6
 7  [고려가요] 처용가-7
 8  [고려가요] 처용가-8
 9  [고려가요] 처용가-9
 10  [고려가요] 처용가-10
 11  [고려가요] 처용가-11
 12  [고려가요] 처용가-12
 13  [고려가요] 처용가-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가요] 처용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문제 제기
3. 연구 방법

Ⅱ. 본 론
1. 처용가의 배경
2. 노래말의 성격과 의미 검토
3. 처용가의 변전과 문학적 해석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 목적

高麗歌謠라는 것은 흔히, 고려시대의 시가(詩歌).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ꡑ,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그런데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鄕歌)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은 중국계(中國系)의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俗樂) 또는 향악(鄕樂)의 노래 이름을 ‘별곡’이라는 말을 붙여지었기 때문이다. 그 형식면에서 보면 《한림별곡》이나 《청산별곡》 등은 전혀 다른 계통처럼 보이지만, 따져 보면 형태상의 특징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첫째, 음수율(音數律)은 주로 3음절이 우세하고, 둘째, 음보율(音步律)은 일반적으로 3음보이며, 셋째, 구수율(句數律)은 6구를 기준으로 하여 다소의 가감(加減)을 보이고, 넷째, 대체로 전후 양절로 구분되는데 《청산별곡》 등에서는 후렴구(後斂句)가 후절(後節)이 된다. 다섯째, 일률적으로 여러 연(聯)이 중첩되어 한 가요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본형은 점차 붕괴되어 변격형(變格型)을 이룬다. 이 가요의 형식은 신라시대 향가의 형식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특히 《정읍사(井邑詞)》, 《정과정곡(鄭瓜亭曲)》, 《사모곡(思母曲)》
참고문헌
윤성현, 『고려 처용가 연구1』『한국고전시가작품론I』
최 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연세대학교 출판부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국학자료원
양주동, 『麗謠箋注』을지문화사
김종오, 『고려가요감상』민족문화추진회
최정여, 『한국고시가연구』啓明大學校 출판부
김학성, 고전문학의 이해, 우리문학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