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

 1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
 2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2
 3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3
 4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4
 5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5
 6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6
 7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7
 8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8
 9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9
 10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0
 11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1
 12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2
 13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3
 14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4
 15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5
 16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6
 17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7
 18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8
 19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19
 20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술관리와사업화] 신재생에너지 RD&D 전략 2030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분야별 수소․연료전지 기술동향 및 전망

제 1 장 고분자 연료전지 (수송용)
Ⅰ. 기술개요 및 범위
1. 기술 개요 및 특성
2. 개발 당위성
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
나. 자동차 산업의 타 산업으로의 파급 효과
다. 환경 및 에너지 문제 대응책
3. 세부기술 분류 및 범위
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나. 연료전지 운전장치
다. 수소저장시스템

Ⅱ. 국내기술 수준 및 기술 동향 분석
1. 기술 수준
가. 세부 요소기술별 기술 수준
나.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
2. 기술개발 및 산업체 동향, SWOT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나. 산업체 동향
다. SWOT 분석
3. 국내 산업 현황 및 타 산업과의 연관성
가. 산업현황
나. 타 산업과의 연관성
다. 기술인력 확보 및 수급현황

Ⅲ. R&D 추진 성과 및 보급시장 분석
1. 과거 (‘88~’07) R&D 추진 현황
2. 주요 R&D 성과
가. 기술적 성과
나. 산업태동 성과
다. 전문기업 육성
3. 국내 시장 동향
가. 보급현황
나. 최근 시장 동향
다. 장기 시장 전망
라. 주요 선도 기업 현황

Ⅳ. 해외 주요 국가의 기술 현황 및 시장 동향
1. 미주
가. 미국
나. 캐나다
2. 아시아
가. 일본
나. 중국
3. 유럽
가. 독일
나. 기타

Ⅴ. 산업화 방안
1. 기술적 target
가. 성능 target
나. 가격 target
2. 가격 저감 Issue 및 목표달성 시나리오
가. 스택
나. 운전장치
다. 수소저장
3. 문제점 / 장애요인
가. 기술적 장애요인
나. 기술 외적 장애요인
4. 실행방안
가. R&D Program 보완
나. 실증 및 보급방안, 향후 Schedule
다. 산업화 Road map
5. 정책제언

Ⅵ. 기술개발 추진전략 및 목표 설정
1. 단기 (2008~2012)
가. 단기 목표
나. 단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2. 중기 (2013~2020)
가. 중기 목표
나. 중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3. 장기 (2021~2030)
가. 장기 목표
나. 장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4. 기술개발 소요예산 예측
가. 단기(2008~2012)
나. 중기(2013~2020)
다. 장기(2021~2030)
라. 소요예산 예측 총괄(2008~2030)

제 2 장 고분자 연료전지 (가정/상업용)
Ⅰ. 기술개요 및 범위
1. 기술 개요 및 특성
2. 개발 당위성
3. 세부기술 분류 및 범위
가. 시스템 기술
나. 스택 기술
다. 연료처리장치 기술
라. 전력변환기 기술
마. BOP 기술

Ⅱ. 국내기술 수준 및 기술 동향 분석
1. 기술수준
2. 기술개발 및 산업체 동향, SWOT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나. 산업체 동향
다. SWOT 분석
3. 국내 산업 현황 및 타 산업과의 연관성
가. 산업현황
나. 타 산업과의 연관성
다. 기술인력 확보 및 수급현황

Ⅲ. R&D 추진 성과 및 보급시장 분석
1. 과거(‘88~’07) R&D 추진 현황
가. 고분자 연료전지 관련 R&D 추진현황
나.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관련 R&D 추진현황
2. 주요 R&D 성과
가. 기술적 성과
나. 산업태동 성과
다. 전문기업 육성

3. 국내 시장 동향
가. 보급현황
나. 최근 시장 동향
다. 장기 시장 전망
라. 주요 선도 기업 현황

Ⅳ. 해외 주요 국가의 기술 현황 및 시장 동향
1. 미주
가. 미국
나. 캐나다
2. 아시아
가. 일본
나. 중국
3. 유럽
가. 독일
나. 영국
다. 스위스
4. 호주

Ⅴ. 산업화 방안
1. 기술적 target
2. 가격 저감 Issue 및 목표달성 시나리오
3. 문제점 / 장애요인
가. 기술적 장애요인
나. 기술 외적 장애요인
4. 실행방안
가. R&D 및 실증 Program 보완
나. 산업화 Road map 및 경제성 분석
5. 정책제언

Ⅵ. 기술개발 추진전략 및 목표 설정
1. 단기(2008~2012)
가. 단기 목표
나. 단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2. 중기(2013~2020)
가. 중기 목표
나. 중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3. 장기(2021~2030)
가. 장기 목표
나. 장기 추진전략
다. 개발/실증/보급 정책 요구사항
라. 연차별 추진계획
4. 기술개발 소요예산 예측
가. 단기(2008~2012)
나. 중기(2013~2020)
다. 소요예산 예측 총괄(2008~2030)
본문내용
가. 시스템 기술

ㅇ 가정용/상업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를 발전시키는 연료전지 발전 모듈과 온수를 저장하고 발생시키는 열저장 모듈로 구분할 수 있음.

ㅇ 시스템기술의 범위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게하고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정지를 하게하는 시스템 제어와 시스템의 주요부품인 스택, 연료처리장치, 전력변환기 및 BOP를 구성하는 시스템 설계 그리고 시스템 제어 및 설계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제작하는 기술로 구성됨.

나. 스택 기술

ㅇ 스택은 연료처리장치에서 발생한 수소와 대기중의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DC 전력을 생산하는 부품임.
ㅇ 스택기술의 범위는 전극과 전해질의 조합인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기술, 스택의 효율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스택설계 기술, MEA와 분리판 그리고 씰링제를 이용하여 스택을 제작하는 스택제작기술, 전극촉매와 전해질 재료, GDL(gas diffusion layer), 분리판, 씰링제의 소재에 관련된 소재기술로 구성됨.


다. 연료처리장치 기술

ㅇ 연료처리장치는 천연가스를 수소로 전환하는 기술로서, 연료처리장치는 부취제를 제거하는 탈황기,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기, CO를 제거하는 HTS/LTS 및 PROX로 구성됨.

ㅇ 연료처리장치 기술의 범위는 연료처리장치의 효율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부피를 줄이는 연료처리장치 설계 기술, 탈황촉매, 개질촉매, HTS/LTS, PROX 촉매에 관련된 소재기술, 연료처리장치를 제작하는 연료처리장치 제작기술로 구성됨.

라. 전력변환기 기술

ㅇ 전력변환기는 스택에서 생산된 DC 전력을 AC전력으로 전환하는 부품임.

ㅇ 전력변환기 기술의 범위는 전력변환기의 효율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전력변환기 설계기술, 설계된 전력변환기를 제작하는 기술로 구성됨.

마. BOP 기술

ㅇ BOP는 스택, 연료처리장치 등의 작동 및 유기적으로 연결을 하게 하는 펌프류, 열교환기, 유량계, 가습기, 기타센서, 밸브, 배관 및 열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열저장 모듈 등의 부품임.

ㅇ BOP 기술의 범위는 고효율, 소형화, 저소음화, 내구성이 향상된 펌프류 설계 및 제작기술, 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열교환기 설계 및 제작기술, 내구성이 향상된 가습기 설계 및 제작기술, 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열저장모듈의 설계 및 제작기술, 기타 기타센서, 밸브, 배관 기술 등으로 구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