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

 1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
 2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2
 3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3
 4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4
 5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5
 6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6
 7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7
 8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8
 9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9
 10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0
 11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1
 12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2
 13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3
 14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4
 15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사상과전통] 삼국의 건국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건국신화의 이해
1.건국신화의 전승 체계
1)직접하강형 건국신화
2)지상탄생형 건국신화
①천부지모형 건국신화
②천남지녀형 건국신화
2.건국신화로 본 한국의 초기국가 형성
Ⅱ. 고구려의 건국신화
1.고구려 건국신화에 나타난 해모수와 유화
1)해모수의 신화적 성격
2)유화의 신모적 성격
2.주몽의 신화적 성격
3.주몽신화를 통해본 고구려의 국가형성
Ⅲ. 백제의 건국설화
1.백제 건국신화의 계통
1)마한계의 신화:서동설화와 견훤설화
2)부여계의 신화:온조설화
2.계통별 신화
1)마한계 건국신화의 서사구조와 의미
2)부여계 건국신화의 서사구조와 의미
3. 전승의 체계와 양상
1)수부지모와 농경민적 전통
2)천부지모와 북방계 신화의 전통
3)전승양상:신화의 수용과 훼손
Ⅳ. 신라의 건국신화
1.육촌장신화의 성격
2.박혁거세신화
1)시조탄생의 신화적 의미
2)박혁거세와 알영의 결혼과 그 의미
3)박혁거세의 죽음과 신화적 의미
3.석탈해신화
4.김알지신화
Ⅴ. 건국신화의 공통점과 역사적 가치
본문내용
Ⅱ. 고구려의 건국신화
1.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타난 해모수와 유화
1) 해모수의 신화적 성격
인격화된 해모수의 모습은 도교 전래 이후에 이루어진 자연신의 신선화 현상이다. 해모수가 타고 다니는 오룡거는 다섯용이 끄는 수레인데 여기에 등장하는 다섯이라는 숫자는 고구려의 성수(聖數)이다. 해모수는 머리에 까마귀 깃털로 만든 오우관을 쓰고 내려왔다. 까마귀는 태양을 상징하는 태양조로 알려져 있으므로 해모수는 태양신의 의인화임이 드러난다. 또한 허리에는 용광이 빛나는 칼을 차고 있었는데 칼은 금속제의 무기로써 철기를 사용하던 시대의 산물이다. 해모수는 바로 이 같은 철기 사용집단의 신임도 드러난다. 그리고 해모수는 아침이면 사무를 보고 저녁이면 하늘로 올라갔다고 했는데 이것은 아침에 해가 뜨고 저녁에 해가지는 것을 의인화한 기술이라고 본다. 이것이 태양이 돋은 낮에 활동을 하고 해가진 밤에는 휴식을 취하는 인간의 활동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특히 수렵은 밤에도 행하였으나 농경의 일은 주로 낮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농경사회를 관장하는 신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유화의 신모적 성격
유화의 아버지인 하백이 유화가 해모수에게 붙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사자를 보내 중매를 보내지 않은 무례를 책망한 것으로 가문을 욕보였다고 유화를 질책했다. 그 후 하백은 해모수를 시험하고 유화와의 혼례를 치르도록 주선해 주었다. 그런데 해모수가 유화를 데려가지 않을까 우려한 하백은 해모수를 술에 취하도록 한 다음 가죽으로 만든 가마 속에 유화와 함께 실어두었다. 그런데 술에서 깨어난 해모수가 유화의 금비녀를 가지고 가죽 가마를 뚫고 혼자 승천을 했다. 이 이야기에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존재(해모수)와 물속을 헤엄쳐 다니는 존재(유화)가 부부로 결합한 후 날아다니는 존재는 날아가고 날아오를 수 없는 존재만 홀로 남게 된다는 사연을 찾아낼 수 있다.
유화는 어로족의 여신이었지만 점차 성격이 변모하는데 그 모습은 주몽을 낳아 키우면서 주몽에게 활과 화살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활은 물고기를 잡는 도구가 아니다. 유화가 사냥의 도구로 쓰이는 활과 화살을 만들었다는 것은 어로부족의 신에서 수렵부족의 신으로 변모함을 뜻한다. 또 유화는 주몽에게 준마를 골라준다. 주몽이 말을 기르는 일을 하였다고 한 것은 유목민의 삶의 방식을 익힌 것이고 유화가 주몽에게 준마를 골라준 것은 유화가 유목민에게 이미 신격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화의 변신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주몽이 동부여를 탈주할 때 오곡의 종자를 전해준다. 여기서 유화는 농경부족의 생산여신으로서의 성격도 보여준다.
참고문헌
○ 저서
- 이지영,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2000
- 이종욱, 『건국신화 : 한국사의 1막 1장』, 휴머니스트, 2004
-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 논문
- 권호택, 「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한미옥, 「백제 건국신화의 계통과 전승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 나희라, 「신라의 건국신화와 의례」, 울산대학교,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