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

 1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1
 2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2
 3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3
 4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4
 5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5
 6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6
 7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7
 8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8
 9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9
 10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 개화기에서 현대까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화기의 교육

가.시대적 배경

나. 정부 설립의 근대학교

다. 민간 설립의 근대학교

라. 선교단체 설립의 근대학교

Ⅱ. 일제하의 교육

가. 시대적 배경

나. 보호시대의 교육

나. 보호시대의 교육

라.일제시대의교육읽기

Ⅲ. 미군정기시대의 교육

가. 시대적 특징

나. 미군정시대의 교육시책

다. 미군정시대 교육 읽기

Ⅳ.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가.시대적 특징

나. 제 1․2공화국의 교육(1948~1961)

다.제 3공화국의 교육(1961~1972)

라. 제4공화국의 교육(1972~1980)

마. 제5공화국의 교육(1980~1988)

바. 제6공화국 1기의 교육(1988~1993)

사. 제6공화국 2기의 교육(1993~1998)

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교육 읽기


본문내용
Ⅱ. 일제하의 교육

가. 시대적 배경
․1905년 일본과 을사조약을 맺으면서 일제하의 교육이 시작됨.
․을사조약 이후, 통감부를 조선에 설치하고 교육행정 기구 내 일본인 관리 배치함으로써
조선 교육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함.
․1910년8월29일 한일합방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통감부를 총독부로 개편과 무단통치 실시.
․일제는 조선인들의 정치적, 경제적 약탈을 함으로써 많은 조선의 천년들과 지식인들이 항일 민족해장 운동에 참여 →종교단체와 사립학교를 통해 반일운동을 전개해 나감.

나. 보호시대의 교육
①종래의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개칭→5~6년의 수업연한을 4년으로 단축.
②중학교를 고등학교로 개칭→7년의 수업연한을 4년 내외로 함.
③일본으로부터 들여온 차관으로써 전국 주요도시에 보통학교를 증설함.
④조선학교에서 일본인 교원 배치, 일본어 교육 실시 등의 조치를 취함.
→이는 즉 조선 교육개혁을 통한 식민통치를 위한 일제의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냄.
다. 식민지시대의 교육
①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충량한 국민의 육성, 시세와 민도에 적합하게 함,
․한국인과 일본인을 별도로 가르치는 복선형 교육제도를 수립 운영
②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앞에서 다루엇던바와 같이 차별교육에 대한 한국인의 불 만을 누그러뜨러기위한 방책이었음.
③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활국신민화를 내세워 일본인과 동등한 교육을 시키려 했 으나 일제가 착취하기 위한 정치작업의 일환으로서 철저히 통제하려는 술책에 불과했다.
․한국인 황국신민화를 위함으로 일본어․일본사․수신(도덕)․체육 등의 교과목 비중 높 임.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변경→ 한국어 폐지를 의미함.
이는 표면상황국신민화를 내세워 일본인과 동등한 교육을 시키겟다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전시체제로 돌입한 일제가 조선을 병참기지화 하여 지속적으로 착취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임.
④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 중학교․고등여학교․실업학교의 수업연한을 모두 4년으 로 단축시킴.

라.일제시대의교육읽기
일제는 당시 한국인들의 강한 교육열을 통치에 이용하기도 했는데 한국인 자녀들의 입학을 미끼로 한국인들의“창씨개명한국인들의 성을 일본식으로 바꿈)을 유도하려 했다. 또한, 관리를 임용할 때 사립보다 관․공립을 우대함으로써 한국인 자녀들을 여기에 유인하여 반일 사상을 제거하려 했다. 이는 곧 한국인에 대한 우민화․동화정책을 달성하겠다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일제의 통치술은 조선시대 과거합격의 의미가 이 당시 관․공립학교 입학으로 바뀌었을 뿐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이용한 통치방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