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

 1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1
 2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2
 3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3
 4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4
 5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5
 6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6
 7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정치론] 선거와 인터넷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인터넷의 정치적 활용이 한국사회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연구목적
3. 연구방향

Ⅱ. 본론
1. 16대, 17대 대선에서 나타난 온라인 선거캠페인
: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2. 온라인 선거캠페인의 저조 원인
3. 온라인 선거캠페인의 성공적인 사례
4. 인터넷을 통한 선거의 무관심에 대한 해결책

Ⅲ. 결론

본문내용
Ⅱ. 본론
1. 16대, 17대 대선에서 나타난 온라인 선거캠페인
먼저 16대,17대 대선에서 활용된 인터넷 선거운동 방식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과거 수억 원 이상의 선거자금이 필요했던 대규모 유세와는 다르게 2002년 16대 대선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폭발적인 정치참여를 유도하였다. 그 중에서도 단연 노사모의 활동이 가장 돋보였다. 이들은 지역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지지 지역이 아닌 부산에서 출마한 노무현 후보의 팬클럽 형식으로 결성되었다. 이들은 노사모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활동을 지속해 나갔으며, 그 정치적 효과 또한 민주당 국민참여경선제에서 보았듯이 컸다. 이러한 정치적 효능감을 기반으로 하여 결국 노무현 후보를 당선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이렇게 선거활동에 있어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첫 단추를 채운 노사모의 활동은 그동안 정치적 사안에 무관심했던 젊은이들의 관심을 조금이나마 이끌어냈다는 점, 노사모 홈페이지를 통한 유권자들 간의 토론을 통한 정치적 학습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을 가진다. 또한 지금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지지자들의 정치자금 기부문화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이들은 팬클럽적인 성격을 지녀 정치적인 자기비판 능력을 지니지 못했으며, 노무현 후보의 당선이후 정책 결정에 있어서 의견을 낼 수 있는 기구로 변모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 조석장 지음, 한국학술정보(주)

이렇듯 16대 대선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한계를 지녔지만 당선에 있기까지 충분한 효과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17대 대선에 출마하는 후보들의 관심을 얻기에 충분했다. 2007년 17대 대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16대 대선이 있었던 2002년 보다 본격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하게 되어 이전보다는 각 후보에 대한 홍보자료가 더 크게 파급되었다.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접근하였는데, 젊은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싸이월드(Cyworld)를 통한 홍보, UCC를 통한 홍보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여기까지 보았을 때 2002년 16대 대선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홍보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노사모의 경우처럼 인터넷의 쌍방향적인 특성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그들이 일방적 홍보에만 주력한 까닭이다. 또한 홍보에 이용했던 미니홈페이지는 특성상 공론장의 형성이 어렵고 폐쇄적이어서 그 후보에 대한 관심이 있어 검색을 한 사람들에 한해서 파급되었고, 또한 일촌이 전제되어야 전체 글을 열람할 수 있는 특수한 미니홈페이지 운영방식 때문에 다양한 토론이 부재한 채 개인의 정치적 의사 표명만이 이루어졌다. 대구카톨릭대학교 장우영
경희대학교 윤성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