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

 1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
 2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2
 3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3
 4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4
 5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5
 6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6
 7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7
 8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8
 9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9
 10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0
 11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1
 12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2
 13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3
 14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호학] 한국 영화 속 `타 자(The Other)`의 기호학적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1. 레비스트로스의 이항대립
2. 바르트의 신화
Ⅲ. 분석결과
1. 일본인
2. 미국인
3. 동성애자
Ⅳ. 우리들의 결론
본문내용

2. 바르트의 신화

바르트는 현대사회의 ‘신화’란 특정 상황이나 사물에 대한 사회 내의 지배적인 믿음이나 개념의 다발이라고 하였다. 신화는 부자연스러운 것을 자연스럽게 만들며 당연하게 생각하도록 한다.
바르트의 신화론의 핵심은 신화란 그것이 오래된 것이든 새로운 것이든 특정 시기에 지배집단으로 자리 잡은 특정 사회계급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신화의 형태와 개념은 반드시 이러한 역사적 발생동기를 수반하고 있지만, 신화가 작동하는 주요방식은 이 같은 역사적 동기를 은폐하고 이것을 일반적인 상식으로 통용되게 하는데 있다. 즉, 신화는 그것이 전달하는 의미를 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사실로 제시함으로써 그것의 역사적 동기를 은폐하고, 결과적으로 신화가 갖는 정치적 효과(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은폐하게 된다. 박정순,『대중매체의 기호학』p.193,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바르트는 1차 의미작용에서 기표와 기의가 만들어내는 기호가 2차 의미작용에서 다시 기표가 되고 여기에 다른 기의가 부착된다고 하였다. 이때 현대의 신화가 첨가되어 새로운 기호가 되는 것이다. 그는 의미화 과정을 세분화 하여 언어적 작용 뿐 아니라 사회적 작용까지 연결시켰다. 비교적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외연적 의미화와 문화적, 주관적 작용이 큰 내포적 의미화로 세분화 하였다.
영화 속에서 부자연스러운 것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신화’적 속성과 그것을 드러내는 기호 이면의 의미를 탐구하는데 외연적 의미화와 내포적 의미화 개념을 사용하였다.

Ⅲ. 분석결과

1. 일본인

1) YMCA 야구단

가) 이항대립의 구조
일본인
한국인
부서진 야구연습장 팻말
그 뒤에 보이는 일본인들
힘없이 돌아가는 야구단
일본군의 군복
조선인의 흰색 무명옷

신문물
고지식함(구식)
학다리 타법

변화구
직구
4번타자(선비 사)
4번타자(죽을 사)
상놈에게 공을 던져주는 양반
상놈이 던진 공은 받지 않는 양반
아웃 될까봐 빨리 뛰어가다 넘어지는 양반
공을 치고도 느긋하게 걸어나가는 양반


참고문헌
박정순,『대중매체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9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5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