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

 1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
 2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2
 3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3
 4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4
 5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5
 6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6
 7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7
 8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8
 9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9
 10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0
 11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1
 12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2
 13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3
 14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4
 15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산업] 한국영화 몽골 진출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선정 배경


Ⅱ. 몽골의 영화산업
1. 국가 소개
2. 몽골 이용자 성향
3. 몽골 영화산업 현황


Ⅲ. 몽골 진출 전략
1. 한국의 몽골 진출 사례
2. 한국영화 진출 전략


본문내용
나. 권력격차(PDI)에 대한 결과분석

권력격차는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 존재하고 있는 부와 권력의 불평등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권력격차가 1980년 G. Hofstede 최초 연구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게 나타난다.(60->7) 한국의 경우 경제발전과 더불어 사회의 민주화 정도가 점차 향상됨에 따른 현상으로 판단된다. 한편 몽골의 권력격차가 낮게 측정된 것은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형성된 평등한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 때문으로 판단된다.
G. Hofstede는 권력격차가 큰 나라들의 경우, 하급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이 거의 허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즉 상급자들이 전제적으로 지도력을 발휘하고, 하급자들은 그들 자신의 행동에 의해 지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에서 권력격차의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는 것은 더 이상 상급자의 일방적이고 전제적인 지도력의 발휘가 하급자들에게 통용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다. 남성성(MAS)에 대한 결과분석

남성성과 여성성 차원은 사회나 조직 구성원들이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얼마나 분명하게 구분하는가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남성성은 사회 내에서 성 역할의 구분이 극대화되는 사회인 한편, 과시욕, 가시적인 성과, 금전적인 부의 축적 등이 사회적 가치들에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남성성 수준이 1980년 G. Hofstede 최초 연구와 비교하면 조금 낮게 나타났다.(39→26) 몽골의 경우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88) 따라서 한국의 경우 남성성 수치가 낮게 나타난 것은 물질적인 성과보다는 관계를 중요시하고 생활의 질이나 환경보호, 불우한 사람들에 대한 도움 등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몽골에서 남성성 수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사회의 전반적인 가치가 물질적 성공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성취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 불확실성 회피 성향(UAI)에 대한 결과분석

불확실성 회피 차원은 사회 또는 조직구성원들이 미래의 변화와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불확실성 회피 경향은 한국의 경우 수치가 낮아지고(85→82) 몽골의 경우는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92)
즉 한국의 경우 미래에 대한 별다른 위험을 느끼지 않고 불확실성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몽골의 경우 사회체제의 변화과정 속에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기존의 G. Hofstede의 연구에서 제시한 기타 국가들과의 수치를 비교하여 볼 때, 불확실성 회피 경향이 높게 나타나 아시아 국가들이 중간 정도의 불확실성 회피 경향을 갖는다는 G. Hofstede의 주장과 유사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마. 장기지향성(LTO)에 대한 결과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