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

 1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
 2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2
 3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3
 4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4
 5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5
 6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6
 7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7
 8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8
 9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9
 10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0
 11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1
 12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2
 13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3
 14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호학] 순정만화의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정의
2. 문제제기
3. 사회와의 연관성


본론

1. 이론적 논의

2. 순정만화에서 보편화되어 있는 기호학적 의미
- 이항대립 분석
- 프롭의 민담구조 분석

3. 순정만화에서 나타나는 성역할규범의 거부
- 바르트의 신화 1) 미형의 캐릭터 (그림체)
2) 로맨스 플롯
3) 캐릭터 성격
- 바르트의 신화를 통해 분석한 순정만화의 기호학적 의미 1) 외연적 의미
2) 내포적 의미
3) 3차적(신화적) 의미

결론
한계와 나아갈 방향 제시

본문내용

1) 루이(주변을 의식하는 사랑) vs 츠카사(개인주의적 사랑)

에서 하나자와 루이라는 인물은 여주인공인 츠쿠시를 사랑하지만, 자신의 사랑보다는 친구인 츠카사의 사랑을 고려하고, 특히 여주인공의 츠쿠시의 사랑을 존중해 주는 사랑을 한다. 이는 루이의 배려심 있는 성격을 보여주며 이것은 그대로 사랑하는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반면 도묘지 츠카사라는 인물은 지극히 개인주의적 사랑을 한다. 만화에서 츠쿠시는 처음에 루이를 좋아했지만 그보다 자신의 사랑이 먼저인 인물이다. 또한 만화 내용 중 루이가 츠쿠시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였을 때, 가장 친한 친구이지만 자신과 루이가 속한 친구들의 그룹에서 루이를 배제시키려고까지 한다. 츠카사는 지극히 이기적인 성격의 소유자로써 자신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주위사람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대방을 먼저 생각하는 배려심 있는 사랑과 자신의 사랑이 먼저인 개인주의적 사랑의 대립구조로 볼 수 있다.

2) 츠카사(상류층) vs 츠쿠시(서민층)

츠카사라는 남주인공은 모든 것을 갖춘 재벌 2세로 등장한다. 반면 츠쿠시라는 여주인공은 넉넉하지 못한 집안의 하루하루 먹기 살기 힘든 평범한 인물로 등장한다. 이는 성격으로 그대로 반영된다. 모든 것을 갖춘 츠카사는 이기적이고 뭐든 자기마음대로 하려는 성격을 가지고 있고, 츠쿠시는 하루하루 먹고 살기 힘들어 어떻게든 살아보기 위해 애쓰는 악발이적 성격이 들어난다. 이는 츠쿠시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는데, 츠쿠시는 한국말로 하면 잡초라는 뜻으로 이는 그녀가 잡초 같은 성격의 소유자임을 드러낸다. 이렇게 상류층의 남주인공과 서민층의 여주인공은, 남성의 권력 앞에 여성이 굴복할 수 있는 구도를 만들고, 때문에 여주인공은 남주인공에게 기댈 수밖에 없게 된다. 상류층 남자와 서민층 여자를 대립구조로 놓으면서 가부장적인 모습을 표현하는 것이다.

3) 츠카사(어두움) vs 츠쿠시(밝음)

츠카사라는 인물은 모든 것을 갖춘 인물이지만 어두운 과거가 있고 만화가 진행되는 내내 어두운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런 어두움은 무겁고 단단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반면 츠쿠시라는 인물은 항상 밝은 모습으로 표현된다. 아무리 밟혀도 다시 일어서는 잡초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다. 이러한 밝음은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들어 내고, 츠카사라는 인물의 어두움을 자신의 밝은 성격으로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어둠을 밝혀주는 빛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어두움과 밝음이란 대립구조는 둘의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4) 선한 주인공(츠카사) vs 악한 라이벌(우미)

순정만화에서 여주인공은 항상 착한 인물로 등장한다. 반면 중간에 나타나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의 사이를 방해하는 라이벌은 악한 인물로 설정된다. 이러한 선과 악의 대립구조는 이야기가 전개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주인공을 선으로 표현하고 라이벌을 악한 존재로 표현하는 것은 선이 결국 악함을 이기게 된다는 권선징악의 대표적 클리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립구조로 인해 선한 여주인공이 악한 라이벌을 물리치고 남주인공을 차지한다는 당위성을 심어주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