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

 1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
 2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2
 3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3
 4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4
 5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5
 6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6
 7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7
 8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8
 9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9
 10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0
 11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1
 12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2
 13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3
 14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4
 15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5
 16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6
 17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7
 18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8
 19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19
 20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연암(燕巖) 박지원의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가소개
Ⅱ. 연암의 문학관과 소설
Ⅲ. 작품소개
본문내용
Ⅰ. 작가소개
박지원 (1737~1805)

1737년(영조 13년)
한양에서 박사유의 아들로 출생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16세에 조부가 사망
22세 때부터 원각사 근처에 살며 박제가, 이서구,서상수, 유득공 등과 이웃하여 깊은 교우를 맺음
홍대용과 사귀면서 지구의 자전설을 비롯한 서양의 신학문을 배웠으며, 북학과 이용후생의 방법을 토론
29세 때 과거에 낙방한 이후 오직 학문과 저술에만 전념

1777년(정조 1년)
권신(權臣) 홍국영에게 벽파(辟派)로 몰려 신변의 위협을 느끼자 이듬해 황해도 김천 연암협으로 은거


1780년(정조 4년)
44세 때 삼종형 진하사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북경을 거쳐 청나라 황제의 여름 별궁이 있는 열하(熱河)로 감
이 과정에서 중국의 발달된 사회를 보고 실학에 뜻을 두게 된다. - 대표작《열하일기》는 이때의 견문을 기록한 것
《열하일기》는 당시 보수파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으나, 정치·경제·병사·천문·지리·문학 등 각 방면에 걸쳐 청나라의 신문물을 서술하여 실학 사상을 소개함
1786년
50세 때 음보로 처음 출사하여 왕의 특명으로 선공감 감역(監役)에 제수됨
1789년 사복시 주부主簿), 이듬해 의금부도사·제릉령(齊陵令),
1791년(정조 15)
한성부 판관을 거쳐 안의(安義) 현감 · 면천(沔川) 군수(1797년) · 양양(襄陽) 부사(1800년) 등 지방 수령으로서 자신의 이용후생론을 실험하고 그 경험을 지식으로 구체화
 1801년 치사(致仕)하고 물러남

Ⅱ. 연암의 문학관과 소설
고문의 문체 거부
그는 '고문이란 옛적에 있어서의 일상적 언어를 기록한 것으로서, 참다운 문학의 길은 이미 화석화되어 버린 옛말과 경험을 답습하는 데 있지 않고, 그 진정한 의미를 음미하면서 자신의 시대와 경험을 살리는 데 있다.'고 함.
시대적 변화를 전제로 현실을 중시하는 문학을 추구.

2. 당대의 현실에서 소재를 택해 실생활과 거리가 먼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
중국적 형식과 내용을 추종하는 인습 비판.
우리의 풍토와 역사, 문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 우리의 현실 속에서 문제점을 찾아 우회적으로 혹은 반어적으로 조명하는 소설에 가치를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