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

 1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
 2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2
 3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3
 4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4
 5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5
 6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6
 7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7
 8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8
 9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9
 10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0
 11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1
 12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2
 13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3
 14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4
 15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5
 16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6
 17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7
 18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8
 19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19
 20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전을의 소아약증직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소아약증직결
II. 전을의 생애 및 저서
III. 시대배경 및 역사연원
Ⅳ. 전을의 의학사상
Ⅴ.의안 분석
Ⅵ.임상경험
Ⅶ. 결론
본문내용
疱疹
疱疹의 변증에 대해 五臟分證에 입각하여 논하였으며, 초기의 症候뿐만 아니라 痘, 疹이 發出한 후에 나타나는 증을 모두 상세히 논하였다.
치료 원칙으로 “溫涼藥治之”, “不可妄下”, “妄攻發“ 강조
- 邪毒을 외부는 소산하고, 裏는 淸解하되, 裏를 虛하게 하거나 혹은 그 독을 조장하지 않으려는 까닭이었다.

포진이 가벼운 자는 주로 평화한 약으로 조리함에 주의
포진이 생긴지 3일 후에도 不出하거나 혹은 出하더라도 不潔한 것 - 紫草散
出하였으나 不潔하고, 熱盛하면 抱龍圓/ 疱疹黑陷하면 百祥圓/ 吐血衄血이 나타나면 生犀磨汁을 복용케 하였다.

吐瀉
소아는 易虛易實, 易寒易熱하므로, 吐瀉證은 변화가 신속하니 마땅히 세심히 변증하여야 한다.
전씨는 비위에 대한 氣候變化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 용약의 한열온량을 기후변화에 따라 개변하였으며, 消化狀態 및 全身狀態에 따라 臟腑의 寒熱虛實程度를 변별하였다.
치료시 寒熱幷用, 補邪兼施, 內外分治, 脾胃共調, 補夜救液의 法을 채용하였다.
玉露散으로 直折胃熱, 生津止渴
益黃散으로 溫中健運, 和胃降逆
服用劑量은 병정의 寒熱錯雜程度에 따라 증감하였으며, 복용법 또한 식전 식후로 구별하였다. 이는 꼭 들어맞도록 하면서 비위를 보호하여야 하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疳證
疳證 - 비위병으로 誤下太過하여 진액이 消亡한 소치로 인식하였으며, 소아의 潮熱, 病癖, 傷寒에 조치가 부당하거나 攻下太過하거나 신체가 약해진 뒤 다른 사기가 침입하는 것들도 모두 疳을 이룬다 하였다.
전씨는 五臟分證에 따라 이론을 정립하여 疳證을 脾, 肝, 心, 肺, 腎, 筋, 骨疳의 7종으로 나누었다.
疳證의 변증론치에 있어 전씨는 疳證의 冷熱肥瘦, 新久를 변별
초기병은 肥熱疳 / 초기병에 위중의 진액이 적은 사람은 白朮散 多用
久病은 瘦冷疳이니 冷者 - 木香圓
熱者 - 胡黃蓮圓 / 冷熱挾雜한 疳證 - 如聖圓
五臟 諸疳은 본장의 母를 보하면서, 疳證을 치료하는 약물을 가미하여 치료한다


참고문헌
전을. 소아약증직결.서울: 여강출판사.2002
尹憲重. 전을의 생애와 의학사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0
황영준. 소아약증직결의 의안에 나타난 전을의 의학사상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