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

 1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
 2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2
 3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3
 4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4
 5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5
 6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6
 7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7
 8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8
 9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9
 10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0
 11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1
 12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2
 13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3
 14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4
 15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5
 16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6
 17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7
 18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8
 19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19
 20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학교사회복지실천기술 -사례관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학교 현장에서의 사례관리
Ⅱ.사례관리의 주요이론(권진숙 외, 2009)
Ⅲ. 사례관리 운영 체계
Ⅳ. 사례관리 주요 과정별 실천 전략
Ⅴ. 통합사례관리의 도전(이봉주․김상곤 외, 2008)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학교 현장에서의 사례관리
1. 학교를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의 필요성
학교를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실천이 강조되는 배경에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욕구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이 경험하는 문제가 학업문제나 교우관계, 가정문제뿐만 아니라 우울과 자살문제, 학교폭력, 인터넷 중독문제, 성추행 및 폭력 등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빈곤아동의 경우 빈곤한 가정환경으로 인해서 신체발육 부진. 질병. 장애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부모의 보살핌 부족으로 인해 자신감 부족과 학교부적응 그리고 낮은 학업성취도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서 학업성취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으며 고등교육 기회가 제약되거나 목표를 상실하는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회복지사들이 다른 전문직과 구별되는 전문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학생들의 문제와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현장에서 사례관리가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2. 사례관리 운영체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례관리의 운영체계는 크게 교내 운영체계와 교외 운영체계로 구성된다. 먼저 교내 운영체계를 보면, 사례관리자 또는 사례관리팀을 중심으로 사례의 필요성에 따라서 담임교사나 중, 고등학교의 경우 교과 담당교사와 협력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교외 운영체계에는 사례관리 협력기관과 지역사회 자원망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관에는 종합사회복지관, 주민자치센터, 정신보건센터 등이 포함된다. 사례관리자는 사례관리가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교내 운영체계와 교외 운영체계를 조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강명순(2008). 「빈곤아동․가족과 함께 하는 찾아가는 사례관리」. 서울: 학지사.
고미경(2009). “미주한인 이민자 가족 사례관리: 사회문화적 배경안에서의 정신건강의 이해.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권진숙․김상곤․김성천․박지영․유명이․유서구․이기연․조현순(2009).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매뉴얼 연구보고서. 인천광역시 사회복지관협회․사례관리 연구회
노혜련․유서구․박화옥․이용우․윤민화(2008).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사업 평가와 운영모델 개발연구」. 한국자원봉사협의회, 숭실대학교.
민소영(2008).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0권 제1호. pp. 39~65.
성민선 外(2009).『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이봉주․김상곤․이혜숙․최지선․채은화․백혜숙(2008). 「We Start 통합사례관리 매뉴얼」.
이원숙. (1995).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이론』. 서울: 홍익제.
이준영(2007).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이론과 과제. 『춘계 학술대회 및 WORKSHOP 자료집』.
홍현미라(2006) “지역사회관계망을 활용한 자원개발경험의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58호. pp. 65-69.
황성철(1995). 사례관리(Case Management)실천을 위한 모형개발과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27호, pp. 275-304.
Austin, C. (1983).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 Social Work Practice. NY: Longman.
Baker & Intalgiata (1992). 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Developing the Professional Skills Needed or Work with Multiproblem Client. Springfield, IL: Chaarles C. Thomas.
Bellow, J. R. & Mink G. (1996). 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The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Petr, Christopher G. (1998) Social Work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Pragmatic Found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Intagliata, J. (1992).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in Case Management Social Work Practice, by Stephen M. Rose, Longman. pp. 28-29.
Kumar, S. (2000).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Rehabilitaion. Butterworth Heinemann.
Miley, K. K., O' Melia, M., & DuBois, B. L. (1995). Generalist Social Work Practice: An Empowering Approach. Boston, London, Toronto, Sydney, Tokyo, Singapore: Allyn and Bacon.
Moore, S. (1990). A Social Work Practice Model for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Model Grid, Social Work, Vol. 35
Moxley, D. P. & Buzas, L. (1989). Perseptions of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elderly people, Health and Social Work, 14. pp. 196-203.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92).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Washington D.C.: Author.
Woodside, M. & MacClam, T. (2006). Generalist Case Management: A Method of Human Service Dlivery (3rd ed.). Australia, Brazil, Canada, Mexico, Singapore, Spain,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Thomson Brooks/Cole.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