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

 1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
 2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2
 3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3
 4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4
 5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5
 6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6
 7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7
 8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8
 9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9
 10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0
 11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1
 12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2
 13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3
 14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4
 15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5
 16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6
 17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7
 18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8
 19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19
 20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태공학]삼보 아연광산 오염 복원방안(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Sambo mine
Design of Mine water

Design of Soil purification
본문내용
6 section for another theme
Load of Sunflower
Greenhouse for Mycorrhiza
Wind-hill of Cattail and Pampas grass
A walk of woody plants
Path of vine-Clycine Soja
Break place of wormwood, grass, weeds
Design of Soil purification
Concentration of Zinc and Lead

- total area for plant 100m3, total 2500 plant
depth of root 45cm

참고문헌

허선희, 식물재배정화법을 이용한 폐광산 토양내 중금속 제거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김인, 도시해석, 푸른길, 2006
김준호,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1995, 1 8(1), pp. 147~156
정명채, 삼보 Pb-Zn 광산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1998
김조규 외 4명, 휴·폐광산 지역 오염토양의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자원 검색, 1999
윤정옥 외 1명, 식물의 납과 아연의 내성에 관한 유전현상, 1992
강창수, 폐광산 토양, 유출수 및 식물의 중금속 오염과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 2007,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명채 외 1명, 삼보 연-아연광산 주변 농경지에서의 중금속함량의 계절적 변화와 환경오염, 1998
옥용식 외 5명, 광산 인근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따른 식물정화기술의 적용성 탐색, 2003
정기채 외 2명, 아연광산 인근지역 야생식물중의 중금속 함량 조사, 1993
임길재, 폐탄광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 정화효율성 평가 사례 연구, 200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0, No.2, pp. 112-118
정용호, 폐광지역 생태적 복구방안,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서상우 외 3명, 폐광산 주변 토양의 Zn, Cu, Pb의 함량 및 식물체내 축적, 2005)
조도순 외 1명,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18(1) pp. 147~156, 1995
조문철 외 4명, 식물을 이용한 납(Pb) 제거, 한국환경과학회지 제 10권, 제 4호, 2001, pp.269~273
김인성 외 3명, Effects of Lead on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in Monochoria korsakowi, 한국식물학회, 2008.7, 제51권 제4호, pp.284~290
정구복 외 2명, 토양중 카드뮴과 납의 phytoextraction을 위한 식물재배 연구, 2000, 한국환경공학회지, 제 19권 제3호,pp.217~221
백경화 외 5명,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tent in Plants and Soil from a Korean Shooting Site, 한국생태학회지, 2004, 제 27권 4호, pp.231~237
김경웅 외 10명, 토양오염복원기술, 신광문화사, 2006
,이현경, Eco-mine planning & design : 화성시 삼보광산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6
여진기외 3, 현사시와 박달나무의 Pb 흡수능력 및 내성, 한국임학회, 한국임학회지, Vol.90 No.5, pp. 600-607, 2001,
최윤정, 공장지역 도로변식물의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2005
,Bryson, Gretden M, phytoextraction of zinc from soils, 메사추세스대학, 2004
수생식물 도감, 동주중학교 낙동강 환경 생태 탐사연구회, 2002
이상호 외 1명, 수생식물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제3권 제4호 2002년 12월 pp. 5~10
이종화 외 2명, 수생식물의 중금속 흡수능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이동흡외 5명, Maze tank system을 이용한 폐광산의 중금속 제거
이평구 체계적인 폐광산 지역 중금속 오염 평가와 경제적인 복원을 위한 문제제기
김상현외 2명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 오염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Vol.30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