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

 1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
 2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2
 3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3
 4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4
 5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5
 6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6
 7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7
 8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8
 9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9
 10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0
 11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1
 12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2
 13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3
 14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4
 15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5
 16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6
 17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7
 18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8
 19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19
 20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태공학]Phytoremediation을 이용한 제2연화광산 주변 오염지역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설계(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Introduction

2. The range of design

3. Basic investigation

4. Design outline

5. Detailed design

6. Result

7. Discussion

8. Reference
본문내용
* Soil point

S1: 400m (forest) area 0.5㎢
S2: 1100m (forest) area 3.8㎢
( area 3.3㎢ except S1)
S3: 2200m (forest) area 15.2㎢
( area 11.4㎢ except S2)
 
* Water point

W1 : 900 m
W2 : 3000 m
W3 : 400 m
■ Soil washing the feasibility of applying
1) Low organic matter content2) The suitability of the soil particle size3) The microstructure of the soil water content4) Soil washing suitability of the site
■ Design process of Phytoremediation

Area X Depth = Volume of soil
Volume X Density = Mass of soil
3. Soil’s mass X Heavy metal’s concentration
= Total amount of heavy metal calculate
4. ③ - concern standard = Disposal amount
5. Plant’s biomass and distribution ratio
▷ Disposal amount calculate for 3years
6. ④ ÷⑤ = Design period
참고문헌
• 허선희, 식물재배정화법을 이용한 폐광산 토양내 중금속 제거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 김인, 도시해석, 푸른길, 2006
• 김준호,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1995, 1 8(1), pp. 147~156
• 정명채, 삼보 Pb-Zn 광산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1998
• 김조규 외 4명, 휴·폐광산 지역 오염토양의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자원 검색, 1999
• 윤정옥 외 1명, 식물의 납과 아연의 내성에 관한 유전현상, 1992
• 강창수, 폐광산 토양, 유출수 및 식물의 중금속 오염과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 2007, 경희대학교
대학원
• 정명채 외 1명, 삼보 연-아연광산 주변 농경지에서의 중금속함량의 계절적 변화와 환경오염, 1998
• 옥용식 외 5명, 광산 인근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따른 식물정화기술의 적용성 탐색, 2003
• 정기채 외 2명, 아연광산 인근지역 야생식물중의 중금속 함량 조사, 1993
• 임길재, 폐탄광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 정화효율성 평가 사례 연구, 200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0, No.2,
pp. 112-118
• 정용호, 폐광지역 생태적 복구방안,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 서상우 외 3명, 폐광산 주변 토양의 Zn, Cu, Pb의 함량 및 식물체내 축적, 2005)
• 조도순 외 1명, 수종 초본식물의 중금속 내성에 대한 연구, Korean J. Ecol. 18(1) pp. 147~156,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