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

 1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1
 2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2
 3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3
 4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4
 5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5
 6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6
 7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7
 8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8
 9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9
 10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최고운전(崔孤雲傳)의 내용 분석과 지역 축제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최고운전(崔孤雲傳)
1. 최고운전
2. 최고운전의 전기적(傳奇的) 성격
3. 최고운전의 영웅 일대기 구조
4. 최고운전의 설화 구조
Ⅲ. 최치원과 지역 축제
1. 함양 물레방아골 축제
2. 동백섬 문화 관광 축제
3. 최치원 태산선비 문화축제
4. 피향정 문화축제
5. 최치원 신인문학상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은 신라 말기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孤雲)의 파란 많은 생애를 설화적인 허구적 구성으로 영웅화한 고대소설이자 전기소설이며 또한 영웅소설이다. 은 먼저 한문본이 완성되고 이어서 국문본이 유통되었으며, 현재 한문본 13종과 국문본 7종이 남아있다. 이본마다 명칭이 조금씩 달라 을 비롯하여 , , ,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고 있다.
한문본과 국문본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줄거리는 유사하나 그 표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본문에서는 최고운전의 줄거리와 함께 소설의 구성과 의미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와 함께 최고운전의 모델이 된 신라 시대 문인 최치원을 지역 축제로서 콘텐츠화한 사례를 살펴보며 고전 문화의 지역 축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Ⅱ. 최고운전(崔孤雲傳)

1. 최고운전

신라 때, 부임하는 신임 현령마다 부인이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지는 문창이라는 지역에 최충이라는 자가 수령으로 부임한다. 최충은 부인이 실종될 것을 두려워하여 부인의 손에 붉은 실을 매어 둔다. 하지만 결국 부인은 금돼지에게 납치되고, 최충의 부인은 기지를 발휘해 금돼지의 약점이 사슴 가죽임을 알아내 무사히 집으로 돌아온다.
최충의 부인은 집으로 돌아온 지 여섯 달 만에 아들을 낳는데, 최충은 이를 금돼지의 자식이라 여겨 바닷가에 버린다. 하지만 버림받은 아이는 선녀의 젖을 먹고 하늘의 선비의 가르침을 받으며 성장하는데, 이 아이가 바로 최치원이다.
하루는 중국 황제가 시 읊는 소리를 듣고 알아보게 하니, 이는 신라에서 들려온 소리였다. 그리하여 즉시 신하를 신라에 보내어 알아보게 하였더니, 신라에는 재사가 수백 명이나 된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이에 황제는 석함에 달걀을 넣고 초로 밀봉한 다음, 이를 신라에 보내 석함 속의 물건을 알아내 시로 지어 보내지 않으면 대국을 가볍게 본 죄로 엄히 다스리겠다고 위협을 하였다.
당시 신라의 승상, 나업의 딸을 목적으로 그의 집에서 노비로 일하던 최치운은 나업의 사위가 되는 조건으로 석함의 내용물에 관해 “ 團團石物中 半白半黃金 夜夜知時鳴 含情未吐音 : 둥글고 둥근 함 속의 물건은 / 반은 희고 반은 황금인데 / 밤마다 때를 알아 울려고 하건만 / 뜻만 머금을 뿐 소리를 토하지 못하는 도다.
團團石物中 半白半黃金 夜夜知時鳴 含情未吐音”란 시를 지어 보낸다. 이는 그 내용물이 처음에는 달걀이었으나 이미 병아리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시로, 이 시를 보고 탄복한 황제는 최치원을 해하기 위해 그를 중국으로 불러들인다.
최치원은 중국으로 가는 길에 용궁의 환대를 받는다. 또한 한 늙은이에게서 조언을 얻어 아름다운 여인에게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부적을 얻는다.
낙양에 도착한 최치원은 비범한 재주와 부적들을 이용해 황제의 간계를 물리치고, 중국의 과거에 장원급제까지 한다. 또한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 881년(헌강왕 7년), 황소의 난이 일어났을 당시 최치원이 지은 격문(檄文)으로, 황소(黃巢)가 이 격문을 보다가 저도 모르게 침상에서 내려앉았다는 일화가 전해질 만큼 뛰어난 명문이었다고 한다. 그의 시문집은 실려 전해지고 있다.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어 난을 다스린다. 그러나 이를 시기한 이들의 모함으로 외딴 섬에 유배되나 최치원은 이 역시 무사히 모면하여 신라로 돌아간다. 신라로 돌아온 최치원은 가야산(伽倻山)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권택경, ,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6
김시습 외 3권, 김혜니 편, 타임기획, 2004
정지현, , 인천대 교육대학원, 2007
최삼룡, ,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24 ․ 25, 1985
전북 중앙 신문 2009년 6월 29일자 기사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00_main/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