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

 1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
 2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2
 3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3
 4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4
 5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5
 6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6
 7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7
 8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8
 9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9
 10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0
 11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1
 12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2
 13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3
 14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4
 15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교문화경영]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와 일본,한국 문화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문화의 정체성에 관한 이야기)

Ⅱ. 본론

1. 영화「라스트 사무라이」

2. 「라스트 사무라이」에 나타난 일본 문화 정체성

3. 한국 문화와의 비교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

문화정체성 cultural identity이란 무엇인가?
Cultural identity is the identity of a group or culture, or of an individual as far as one is influenced by one's belonging to a group or culture. Cultural identity is similar to and has overlaps with, but is not synonymous with, identity politics.

문화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을 빌려 정의한다면, 인간의 '생활방식의 총체(the total ways of life)'(Linton, 1945: 30)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방식이라고 하는 것은 언어나 사고 내지 예절이나 지식 또는 정서적 반응이나 기술, 뿐만 아니라 제도나 사상 등 인간의 삶과 관련된 여러 영역에 있어서의 인간의 '행동' 전반의 특정한 경향을 총칭하는 것이다. 한편 정체성은 영어 아이덴티티(identity)의 번역으로 흔히 동일성, 주체성, 자기 확인, 귀속의식 등으로도 번역되고 있는 바, 이는 주로 개인이 지니는 자기의 존재증명, 또는 참된 자아, 자기의 단일성이나 연속성, 불변성, 주체성 등의 감각을 의미한다. 나아가서는 일정한 인격이나 그 외의 대상과의 사이에서, 또는 일정한 집단이나 집단의 구성원 사이에서 형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아이덴티티는 공통된 가치관의 공유라든지 긍정되는 역할을 매개로 하여 획득되는 연대감과 안정감에 기초하여 형성된 자기존중 또는 긍정적 자기상을 의미하기도 한다(Erikson, 1968; Erikson, 1980). 따라서 특정한 문화의 정체성이란 특정한 문화권의 구성원 대부분이 공유하고 있는 생활방식의 총체로서, 그 특정한 문화권의 구성원 대부분이 함께 느끼는 바, 그 문화가 지니는 존재증명인 동시에 단일성이나 연속성, 불변성, 주체성 등을 의미한다 하겠다.

그렇다면 한국 문화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한국문화의 심층에는 무교적인 사고방식과 가치관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한국인은 4세기 중엽 이래 불교문화의 세계 속에서 살아 왔다. 그런가 하면 유교적인 사고방식과 가치관 또한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화 정체성의 강력한 요소이었다. 가톨릭을 포함하여 기독교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사회적 집단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 가운데 개신교는 전통문화와 여러 점에서 갈등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 제사문제는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노치준, 1998:115-150). 잘 알려져 있듯이, 현재 한국은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들만큼 서로 다른 다양한 종교들이 공존하고 있으면서도 어느 특정종교도 사회적 주도권을 지니지 못한 다종교사회이다. 이렇게 보다면 한국문화에서 뚜렷한 정체성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참고문헌
- 사무라이: 무사도를 통해 본 일본 정신의 뿌리와 그 정체성(저자:신도, 호도조, 출판사:생각의나무(2004))
- 근대 일본 사회와 문화 :일본을 읽는 책(저자:김성도, 출판사:고려(2008))
- http://ko.wikipedia.org/wiki/%EC%B2%9C%ED%99%A9
-『(새) 먼나라 이웃나라 - 일본1(일본·일본인편)』(저자:이원복, 출판사: 김영사, (2000))
- 닛뽄리포트(저자:오대영, 발행처:중앙북스(2007))
-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표정있는역사)(저자:호사카유지, 출판사 김영사 (2007))
- 선비와 사무라이 (저자:박승무, 출판사: 아침, 2003)
- 사무라이와선비의사전적의미:http://100.naver.com/100.nhn?docid=83344
- http://ko.wikipedia.org/wiki/%EC%82%AC%EB%AC%B4%EB%9D%BC%EC%9D%B4
- http://krdic.naver.com/search.nhn?query_euckr=%BC%B1%BA%F1)
-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 라스트 사무라이 공식홈페이지 http://lastsamurai.warnerbros.com/home.php
- 일본의 전통정신으로서의 무사도와 오리엔탈리즘(김효순,고려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