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

 1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
 2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2
 3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3
 4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4
 5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5
 6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6
 7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7
 8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8
 9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9
 10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0
 11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1
 12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2
 13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3
 14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4
 15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5
 16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6
 17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7
 18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8
 19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9
 20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1.1 메가 뱅크론 배경
1.2 우리은행 민영화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2. 현재 상황
2.1 우리은행 역사
2.2 우리은행 지분구조
2.3 민영화 계획 (M&A)


3. 환경분석
3.1 미국 금융규제(볼커룰, 은행세)와 자본시장 통합법의 대조
3.2 G20 각국 출구전략 및 앞으로의 금융산업 발전 방향
(선진국 VS. 개발도상국)

4. 산업분석
4.1 한국 금융산업 발전 과정
4.2 현재 한국 금융산업 상황


5. 기업분석
5.1 우리은행
5.2 국민은행
5.3 우리은행 국민은행 비교
 

6. 전략도출
시나리오 1 (국민은행 + 우리은행)


본문내용
2.3 민영화 계획 (M&A)

우리은행의 민영화 계획에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가 존재하고 있다. 정부 입장에서 지분매각, 합병 등 다양한 길을 열어두고 입찰 자격도 많은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방향으로 우리은행 민영화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에선 통 매각을 선호하고 있지만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계열사 분리매각 등 여러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출처 : 매일경제)

정부의 계획은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을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하지 않고 민영화에 관심을 둔 후보자로부터 원하는 방식의 제안을 받아 이를 바탕으로 민영화 방식과 대상자를 선택한다는 계획이다.


① 지배지분 매각방법

세 가지 방안 중 정부가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지배지분 매각`이다. 우리금융지주의 지배 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28.5%의 지분을 인수하면 된다. 현재 우리금융의 1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은 57%. 따라서 이의 절반인 28.5% 이상을 인수하면 인수 주체가 1대 주주가 되고 예보는 2대 주주로 내려간다. 이렇게 되면 MOU(경영이행약정)를 통해 우리금융 계열사들의 경영을 감독하고 있는 예보의 경영 간섭이 종료될 수 있다. 즉 인수 주체가 경영권을 행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28.5% 이상의 지분을 인수하는 주체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요구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어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말한다. 정부 입장에서 가장 매력적인 방안이다.
문제는 인수 주체를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우리금융지주의 현재 주가 수준을 감안하면 1대 주주가 되기 위해서는 4조~5조원의 거액이 필요하다. 인수 자격 자체를 갖추기도 쉽지 않다.


② 계열사 분리 매각

분리 매각이란 우리금융지주 산하 계열사를 쪼개서 매각하는 것이다. 우선 경남,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은 분리 매각이 유력하다. 우리금융 민영화에 앞서 경남, 광주은행을 먼저 팔면 다소나마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데다 최소 2조5000억원의 현금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지분 비율에 따라 예보와 우리지주가 나눠 갖는다.
다음으로 나머지 계열사들도 쪼개 팔면 보다 원활하게 인수 주체를 구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은행을 원하는 인수 주체에게, 우리투자증권은 증권을 원하는 주체에게 파는 것이다. 이 경우 기업을 제외하면 다른 금융지주사나 은행 등 수월하게 인수 주체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식은 우리지주 계열사들을 쪼개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점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나 금융산업 발전 촉진 등 대의에 맞지 않다는 난점이 있다.


③ 합병안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소유`하는 것은 제한이 많지만 합병 후 하나의 법인으로 설립되는 것은 제한이 상대적으로 덜하다. 합병안은 금융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형은행을 탄생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그동안 유력한 안으로 검토돼 왔다.
하지만 규모가 경쟁력을 결정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설득력을 잃고 있
참고문헌
매일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
이대일리 종합뉴스
우리금융지주은행 홈페이지
국민은행 홈페이지
현대경제연구원
국내 금융산업의 과거,현재,미래
국내 금융 시장현황 증권업 향후 전망- 현대증권
국내 금융의 선진화 과제- 손상호
금융 위기 이후 금융 산업의 발전 방향- 김병덕(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외환위기 10년, 한국 금융의 변화와 전망- 서울대학교출판부
자통법이후 투자은행 발전전략- HYUNAI RESEARCH INSTIT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