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

 1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
 2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2
 3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3
 4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4
 5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5
 6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6
 7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7
 8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8
 9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9
 10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0
 11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1
 12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2
 13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3
 14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4
 15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5
 16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6
 17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7
 18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8
 19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19
 20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전략]우리은행 민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1-1. 메가 뱅크론 배경
1-2. 우리은행 민영화가 금융 산업에 미치는 영향
2. 현재 상황 
2-1. 우리은행 역사
2-2. 우리은행 지분구조
2-3. 민영화 계획 (M&A)
3.  환경분석
3-1. 미국 금융규제(볼커룰, 은행세)와 자본시장 통합법의 대조
3-2. G20 각국 출구전략 및 앞으로의 금융산업 발전 방향
(선진국 VS. 개발도상국)
4.   산업분석
4-1. 한국 금융산업 발전 과정
4-2. 현재 한국 금융산업 상황
5.   기업분석
5-1. 우리은행
5-2. 국민은행
5-3. 우리은행 국민은행 비교
6.   전략도출
6-1. 시나리오 (국민은행 + 우리은행)
본문내용
메가 뱅크?
→ 자산 5천억 달러 이상인 거대은행
→ 대형화로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추자!

메가 뱅크론
→ 국가 소유의 은행들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방안을 제시여 거론되기 시작


Why? → 한국은 아직까지 금융중진국
“은행및금융규제지수(Banking and Finance Score)- Heritage Foundation”에 따르면
한국은 5점 중 3점으로 선진국 수준인 1점에 비해 낙후된 상태로
11위권 경제규모에 상응하는 금융시장과 산업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

WEF, IMD 등의 국가경쟁력 평가에 있어서도 한국의 금융은 40위권 수준

한국의 금융연관 비율은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 (한국6, 미국9, 영국12 수준)

2001년 4월 우리금융을 지주회사로 공적자금투입
금융기관인 5개 자회사(한빛, 평화, 광주, 경남, 하나로 종합금융) 및 9개 손자회사를 통합하면서 탄생

2001년 12월 31 평화은행을 분할 합병하였으며, 우리 신용카드를 출범
2002년 3월 29일 우리투자신탁운용을 자회사로 편입
2002년 6월 24일에는 우리금융지주가 증권거래소에 상장
2002년 7월 29일 우리증권을 자회사로 편입
2003년 9월 29일 우리 은행이 뉴욕증시에 상장
2003년 12월 24일 LG투자증원을 인수해 자회사에 편입
2005년 3월 31일에는 우리증권과 LG투자증권을 합병해 우리투자증권을 세움
2005년 5월 6일 LG투자신탁운용을 자회사로 편입
2005년 말 우리투자신탁운용과 LG투자신탁운용을 합병해 우리자산운용을 설립
2005년 10월 21일 우리 프라이빗에퀴티를 설립
2006년 우리 자산운용과 Credit Suisse와의 합작으로 우리크레딧스위스자산운용을 출범
2006년 7월 26일에는 홍콩우리 투자은행을 설립
2007년 9월 14일에는 한미캐피탈을 인수 및 자회사로 편입
2008년 4월 4일에는 LIG생명보험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
2008년 6월 27일에는 이팔성회장이 있는 우리금융 제 4기 경영진을 출범
계열사 재편과정을 거쳐 2008년 9월 기준 우리, 광주, 경남 은행 등 10개의 자회사를 소유 중
재정수지 악화 우려에도 불구, 당분간 경기부양기조 지속 전망


◦ 디플레이션 심화, 경기회복세 둔화 예상에 따라 경기부양책 지속 전망
- 일본의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를 기록, 작년 2월 이후
12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디플레이션 지속
- '09.4분기 일본 경제는 전기대비 1.1% 성장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정책효과 감소에 따라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여,
경기부양기조 지속이 불가피할 전망

☞ 일본 재무상 : ‘만약 출구전략을 사용한다면 2012년 이후가 될 것이다.’(3.2일)



◦ 재정적자 및 국가부채 급증은 경기부양책 지속의 제약요인
- 경제위기 대응을 위한 일본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로 재정적자 및 국가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

* 재정적자 비율(GDP 대비) : 5.8%(’08) → 10.5%(’09) → 10.2%(’10)
* 국가부채 비율(GDP 대비) : 197%(’08) → 219%(’09) → 227%(’1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