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

 1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
 2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2
 3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3
 4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4
 5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5
 6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6
 7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7
 8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8
 9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9
 10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0
 11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1
 12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2
 13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3
 14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4
 15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5
 16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6
 17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7
 18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8
 19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19
 20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공기의 과학원리
1. 공기의 속성
2. 공기는 모든 곳에 존재한다
3. 우리 몸 안에도 공기가 있을까?
4. 공기는 물질이다
5. 그릇 속의 공기가 물을 밀어낼 수 있을까?
6. 비닐 주머니 속의 공기는 어떤 물질을 밀어낼 수 있을까?
7. 공기는 압력을 가지고 있다
8. 움직이는 공기(바람)는 물체를 움직인다
9. 움직이는 공기는 물체를 움직일 수 있을까?
10. 공기는 움직이는 물체를 멈출 수 있다

2장. 물의 과학의 원리
1. 물의 속성
2. 물은 무게가 있다
3. 물의 무게는 물체를 뜨게 한다
4. 공기는 물체를 뜨게 할 수 있을까?
5. 물은 스며드는 성질이 있다
6. 물은 용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7. 물 속에는 공기가 있다
8. 물은 물질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9. 물이 수증기로, 수증기가 물로 변할 수 있을까?
10. 물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
11. 표면장력은 어떤 무게를 견딜 수 있을까?
12. 비누는 표면장력을 깨뜨리는가?


3장. 자석의 과학원리
1.자석의 원리
2. 자석은 어떤 물건은 끌어당기고, 어떤 물건은 끌어당기지 않는다
3. 자석은 어떤 물질을 통과한다
4. 자석으로 다른 자석을 만들 수 있다
5. 자석의 힘은 양극이 가장 강하다


4장. 과학의 원리
1. 속담의 과학적 원리
-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
- 찬물도 체한다. - 엄마 손이 약손이다. - 언 발에 오줌 누기
- 바늘구멍이 황소바람이다. - 웃음이 명약이다. - 간에 기별도 안 간다.
- 청개구리가 울면 비가 온다. - 개미가 이사하면 비 온다
2. 수학의 과학적 원리
- 맨홀뚜껑 - 타일 -벌집 -방파제 -비누
3. 생활 속의 과학적 원리
- 다림질을 할 때 물을 뿌리는 이유 - 염화칼슘이 눈을 만날 때
-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 일반 건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전지의 차이점
- 건전지의 자연방전
- 바람이 불지 않는 곳에서도 1월의 공기가 살갗을 에는 것처럼 시리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문내용



유아과학교육이란 유아들이 과학에 대한 기초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의 호기심과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탐구하는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과학적 소양을 길러주는 것이다. 즉, 유아과학교육이란 유아가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알고 싶어 하는 주변 환경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며 결과로서, 과학적 과정을 즐기면서 지식을 심화, 확장해 가는 것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교사와 학부모의 유아과학에 대한 이해,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적태도, 높은 과학적 소양등이 필요하다.
유아과학 교육의 목적은 유아로 하여금 과학하는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내고 교육의 원리를 터득해서 과학적 소양은 물론 합리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여 앞으로의 삶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호기심을 자극하고, 질문을 존중하며, 탐색활동을 격려해 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프로그램은 자연과 사회현상에 대한 개념, 논리, 수리적 사고에 관한 개념, 표상능력으로 1981년 새 교육과정으로 논리, 수리적 개념으로 흡수, 조정하였다. 1987년도 교육과정은 너무 세분화, 개념상 중복, 목표간 변별이 어려운 목표로 하여 통합, 조정, 초등학교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수준을 더욱 넓고 얕게 조정하였다. 1998년 제 6차 교유과정: 탐구생활 영역은 유아들로 하여금 사물이나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탐구능력과 태도를 기르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흔히 우리는 유명한 과학자들이란 타고난 지적능력에 의해 남들에게 어려운 과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발견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보통 사람과 과학자는 근본적으로 다른 능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과학은 자연히 어려운 것이고, 어린 시기에 가르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교에 안가고 헛간에 쭈그리고 앉아 달걀을 품고 있는 에디슨을 나무라지 않았던 어머니가 없었다면, 유전의 법칙을 세운 멘델에게 그에 대한 관심의 싹을 키워준 과수원에서의 놀이경험이 없었다면 그들의 과학적 업적은 세상에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즉, 과학적 탐구능력은 타고난 자질이 있는 아이에게만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어떤 환경과 경험을 제공해 주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유아는 기본적으로 주변에 대한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어떤 과학적 경험의 기회를 주느냐에 따라 과학적 탐구능력의 키가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유아과학교육의 원리00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