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

 1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1
 2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2
 3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3
 4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4
 5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5
 6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6
 7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7
 8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철학사] 위진 현학과 신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현학(玄學)

1. 현학의 배경과 의미
1) 위진 시대 사상의 변화

2) 현학과 학파의 구분


1. 하안과 왕필
1) 하안

2) 왕필

2. 죽림현학, 완적과 혜강

1) 완적과 혜강

2) 죽림칠현

3. 배위

4. 곽상

Ⅱ. 신도교

1. 위진시대 이전의 도교
2. 위진 시대의 도교, 갈홍과 구겸지
1) 갈홍

2) 구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진 현학과 신도교



Ⅰ. 현학(玄學)

1. 현학의 배경과 의미
1) 위진 시대 사상의 변화
한나라가 몰락하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 혼란스러운 가운데 한대(漢代)의 통치이념이었던 유학의 명분과 이념은 지켜지기 힘들었으며, 바뀐 위 왕조는 한나라의 몰락을 잘못 이해하고 구품중정법 위나라는 한나라의 멸망 원인을 권신들이 조정을 장학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높은 벼슬아치와 권신을 매수하여 정권을 공고히 하려 하였다. 구품중정법이란 인재를 선발하는 방법인데 각주에 설치된 중정관에서 해당지역 사람의 재능을 9등급으로 나누고 추천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당연히 능력이 아니라 세도가의 자제만 높은 관직을 차지하게 되니 초기의 취지와는 달리 정국의 혼란과 분열만 초래했다.
을 시행하여 혼란을 가중시켰다. 결국 사마씨가 다시 왕위를 찬탈하지만 궁정의 정변으로 팔왕의 난이 일어나고 이는 오호가 침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속에서 정신적인 공허함이 철학에 반영되어 무無를 근본으로 삼는 새로운 철학사조가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경학의 학풍도 새로운 철학사조의 등장을 촉진시켰는데, 한대(漢代)의 경학자는 끊임없이 주석을 달아 경서의 한 두 구절에도 수많은 주석이 달리게 되어 한권의 책도 확실하게 알기가 힘들게 되었다. 새로운 철학사조는 경전의 장구에 매이지 않고 요점만을 정확하게 말하며, 책을 보지만 지나치게 해석하지 않았다.
처세술에 있어서도 경학은 말하고 쓰는 모든 행동을 예법으로 자신을 속박하여 말 한마디, 글 한구절마다 근거와 내력이 있을 정도였는데 새로운 사상에서는 예법의 속박에서 벗어나 사회제도를 초월하여 본성의 자연스러움에 내맡기는 쪽을 택하였다. 자연히 경학시대의 학자들이 머리가 하얘지도록 경서를 파헤쳐야 유명해진 것과는 달리 나이어린 사상가도 많이 활동하였다.

2) 현학과 학파의 구분
현학이란 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일어난 새로운 학문적 경향을 이르는 말로써 이론적이고 사변적인 성격이 짙어 요즘 의미하는 ‘형이상학’과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사상과 현실사회의 제도간의 모순, 부조리함을 극복하려는 시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전의 사회비판사조는 현실 사회의 제도적 모순을 제거하여 새로운 도덕질서를 정립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그 도덕질서를 정당화 시키는 일관된 세계관의 정립에 실패하였었다. 따라서 현학은 자연 질서와 도덕질서를 일치시키려는 것이 주된 문제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현실사회의 도덕질서를 우주 만물의 자연 질서에 근거하여 새롭게 설명하여 이 둘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위진현학 / 정세근 엮음 / 예문서원 / 2002
하룻밤에 읽는 동양사상 / 표정훈 / 중앙 M&B / 2002
중국철학 / 문재곤 옮김 / 예문서원 / 1993
위진현학과 시대정신 (중국철학) / 원정근 / 중국철학회 / 1999
노자철학과 도교 / 허항생 지음 노승현 옮김 / 예문서원 /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