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

 1  [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1
 2  [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2
 3  [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3
 4  [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논문요약] 간 이식 전후 거부반응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여러 Cytokine들의 측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논문의 Key Points
2. 측정 인자의 선택 배경
1) 생체 간이식 전후의 T세포 분획의 변화
2) 각 군에서 수술 7일 후의 세포내 IL-2, IL-4 분비 림프구 양성률 측정
3) 급성 거부반응군과 비거부반응군에서의 혈청 IFNγ농도
4) 급성 거부반응군과 비거부반응군에서의 혈청 sCD30 농도
3. 상세 결론
본문내용
2. 측정 인자의 선택 배경
◈ 동종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은 항원제공세포에 의해 항원을 제공 받은 Th세포가 Th1세포와 Th2세포로 분화되며 각각 세포매개 면역 및 체액성 면역을 담당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 T세포의 아형인 CD3+T 세포, CD4+T 세포 및 CD8+T 세포의 분포가 급성거부반응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 Th1세포의 경우는 IFNγ과 IL-2를 분비하여 CD8+ T세포에 의한 동종항원 직접 공격을 도와 거부반응을 유발한다.
◈ 반면, Th2세포는 IL-4, IL-5, IL-6 혹은 IL-10을 분비하여 B세포의 분화 및 면역글로불린 E 생성을 통한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며, IL-10을 통해 Th1세포로의 분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식편의 수용을 돕기도 한다.
◈ Th2 CD4+세포는 활성화되면 표면에 CD30을 발현하며, 그 결과 CD30의 수용성 형태(sCD30)를 혈액 중으로 유리하므로, sCD30는 활성화된 Th2세포에 대한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다.
◈ 이러한 면역학적 지표들의 변화는 임상적인 거부반응보다 조기에 나타나므로, 본 실험은 이러한 면역학적 지표들의 변화를 급성거부반응의 예측인자로서 선택하여 예측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